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서신보승급문서 / 徐臣輔陞級文書 [정치·법제]
1908년(융희 2) 9월 9일. 정2품 정헌대부 서신보(徐臣輔)를 종1품 숭정대부에 승서하는 임명장. 당시 승급사실은《순종실록》에도 기재되어 있는데, 이 문서를 통해 실제를 파악할 수 있다.
서신일 / 徐神逸 [종교·철학/유학]
생몰년 미상. 신라 말 고려 초의 호족. 이천 서씨의 시조. 아들로는 광종때 내의령을 지낸 필이 있다. 꿈에 신인이 나타나 감사해하면서 “사슴은 내 아들인데 공에게 힘입어 죽지 않았으니 공의 자손으로 하여금 대대로 재상이 되게 하리다.”라고 말하였다는 일화가 있다. 그
서악서원 / 西岳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경주시 서악동에 있는 서원. 1561년(명종 16) 이정(李楨)을 중심으로 한 지방유림의 공의로 김유신(金庾信)의 위패를 모시며 창건하였고, 1563년(명종 18) 신라의 문장가 설총(薛聰)·최치원(崔致遠)의 위패를 추가 배향하였다. 처음은 선도산(仙桃山) 아
서안평 / 西安平 [지리/인문지리]
평안북도 의주에서 압록강 맞은편 지역에 있었던 고구려시대의 지명. 이 지역은 요동지역과 평양방면을 연결하는 교통로상의 요지였다. 만약, 이곳을 고구려가 장악하면, 낙랑군과 대방군을 고립시킬 수 있다. 그러한 전략적 중요성으로 인하여, 이곳의 지배권을 둘러싸고 고구려와
서양자 / 婿養子 [사회/가족]
사위를 삼을 목적으로 입양시키는 양자. 양자와 마찬가지로 양부모와의 사이에 양친자관계(養親子關係)가 발생하지만, 서양자는 양친자관계의 발생 또는 소멸이 전적으로 혼인관계의 발생이나 소멸에 따르는 점에서 양자와 다르다. 그러나 입양의 무효나 취소 또는 파양(罷養)은 혼인
서양철 / 西洋鐵 [예술·체육/건축]
안팎에 주석을 입힌 얇은 철판이다.
서양화 / 西洋畵 [예술·체육/회화]
서양에서 발생하여 발달한 그림이나 서양에서 보급된 자료와 기술에 의해서 그린 그림. 우리 나라에서는 고희동(高羲東)이 처음으로 일본 동경미술학교(東京美術學校) 서양화과를 졸업하고 돌아와, 유화 활동을 시작한 것이 서양 화법 정착의 시초였다
서얼 / 庶孼 [사회/사회구조]
첩의 자손. 봉작(封爵)의 대상은 애초부터 정처(正妻)에 제한되어 있어 첩에게는 해당되지 않으며, 그 위에 부인이 첩의 소생인 경우에도 봉작할 수 없다는 것이다.
서얼금고법 / 庶孽禁錮法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양반의 자손이라도 첩의 소생은 관직에 나아갈 수 없게 한 제도. 서얼에 대한 차별의 규정은 ≪경국대전≫에 다음과 같이 두 가지가 명시되어 있다. 예전(禮典) 제과조(諸科條)에 죄를 범해 영구히 임용할 수 없게 된 자, 장리(贓吏)의 아들, 재가하거나 실행한
서연 / 書筵 [정치·법제/정치]
조선시대 왕세자를 위한 교육 제도. 서연관의 자격 조건은 학문이 뛰어나고 단정한 사람이어야 하며, 비록 서연관이 되었다 하더라도 그 적임자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직위의 고하를 막론하고 파직되었다. 그러나 서연관은 세자를 근시함으로써 왕이나 세자의 지우를 얻을 기회가 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