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근대 3,89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근대
  • 노기 마레스케 / 乃木希典 [정치·법제/외교]

    1849-1912. 근대 일본의 육군 군인. 러일전쟁의 지휘관. 1876년 아키쓰키의 난을 진압했고, 1877년 세이난 전쟁 때는 구마모토 성 입성을 위해 사이고 다카모리 군과 격전을 벌인 끝에 연대기를 빼앗겼다. 청일전쟁때는 보병 제1여단장으로 출진하였다. 1904년

  • 노동시장 / 勞動市場 [사회/사회구조]

    노동자와 사용자가 만나 경쟁관계를 통하여 양자간의 관계가 결정되는 과정 또는 그 영역. 우리나라에서 생산자를 생산수단으로부터 분리시킨 계기는 일제의 토지조사사업이었다. 이 사업은 지주에게 배타적 사유권이 법으로 인정된 반면, 이전에 소작인이 가지고 있던 관습상의 경작권

  • 노동야학독본 / 勞動夜學讀本 [교육/교육]

    1908년 유길준이 노동자와 민중을 계몽하기 위하여 편찬한 교과서. 국어학습용교과서. 50개 단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반부에서는 사람(人)을 바탕으로 하여 나의 도리와 의무 등에 대하여 서술하고 있다. 그러면서 노동의 정의를 설명하고, ‘노동 연설’이라 하여 노동자

  • 노동운동 / 勞動運動 [사회/사회구조]

    노동자들의 경제적, 사회적 지위를 안정 또는 향상시키려는 운동. 우리 나라의 근대적인 노동운동은 개항 이후 외세의 침입에 따른 자본주의화 과정에서 근대적 임금노동자층이 형성되면서 비롯되었다. 노동운동의 주체도 시기에 따라 다양한 노동자로 바뀌었고, 현재는 다양한 노조가

  • 노동자 / 勞動者 [사회/사회구조]

    자신의 노동력을 제공하고 그 대가로 받은 임금으로 살아가는 사람. 우리 사회에서 근대적 임금노동자의 기원을 18-19세기 무렵의 전자본주의적 생산체계내에 존재하였던 농업의 고공(雇工, 머슴)과 임용사공(賃用私工), 광업의 용인(傭人) 및 수공업의 모작배(募作輩) 등에서

  • 노령노래 [문학/구비문학]

    함경도 지방의 민요. 러시아영토로 생업을 위하여 떠나가는 실정을 노래한 근대의 민요이다. 지난날 함경도 지방의 남자들은 삶이 어려워서 러시아 지방으로 흔히 품팔이를 나갔는데, 그 사설 속에는 참담하고 절박한 실정이 절실하게 배어 있다. 곧 생활을 개척하기 위하여 가족과

  • 노백린 / 盧伯麟 [정치·법제/정치]

    1874년(고종 11)∼1925년. 독립운동가. 황해도 은율 출신. 1895년 경응의숙에서 보통과와 특별과를 수학하였다. 1899년 1월에는 일본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였다. 1900년 10월에 귀국하자 당시 원수부회계국총장 민영환의 적극적인 주선으로 육군 참위에 임관되

  • 노병희 / 魯炳熹 [종교·철학/유학]

    1850년(철종 1)∼1918년. 한말의 한의사·의병. 주상의 장남이다. 손자 진룡도 독립운동에 투신하였다. 1888년부터 1893년까지 최익현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904년 영친왕 진료 후 6품 승훈랑에서 정3품 통정대부가 되었다. 무성서원회의 후 의진이 결성,

  • 노상직 / 盧相稷 [종교·철학/유학]

    1855년(철종 6)∼1931년. 일제 강점기 학자. 부친은 노호연, 부인은 하태긍의 딸이다. 성재 허전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910년(융희 4) 경술국치를 당해 중국 안동현으로 가서 먼저 망명한 형 노상익과 합류하였다. 주요 저서로《동국씨족고》·《역연제강》·《고

  • 노성읍지 / 魯城邑誌 [지리/인문지리]

    충청남도 노성(현 논산시 노성면)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1901년에 편찬한 지방지. 내용 구성은 진관(鎭管)·방리(坊里)·도로·건치연혁(建置沿革)·군명(郡名)·형승(形勝)·성지(城池)·관직(官職)·산천·성씨(姓氏)·풍속·단묘(壇廟)·제언(堤堰)·창고(

페이지 / 390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