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정치·법제 총 2,798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정치·법제
비각 / 祕閣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비서성의 문서와 서적을 보관하던 관서. 고려시대의 비각은 송제와는 달리 직관이 배속되지 않았으므로 ≪고려사≫ 백관지에 수록되어 있지 않고 세가에 관련기록이 산견된다. 따라서 설치연대는 미상이나 국초의 내서성이 995년(성종 14) 비서성으로 개칭된 사실과 1
비국인례옹임주차무늑융명예령사칙명 / 比國人禮雍任駐箚武勒蕯名譽領事勅命 [정치·법제]
1901년(광무 5) 10월 26일 고종이 벨기에인 레옹(禮雍, Emile Le Hon)을 주차부뤼셀명예영사로 임명하는 칙명. 《고종실록》에는 이와 관련된 기사가 실려 있지 않으나, 1905년 9월 4일에 '외국에 주재하는 본국 며예 영사들에게 훈장을 수여한다.'는 기
비답 / 批答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신하의 상소에 대해 국왕이 내린 답서.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것은 정사에 대한 불윤비답으로서 ≪동국이상국집≫·≪동문선≫을 비롯, 여러 문집 등에 전재된 것이 많이 있다. 정사뿐 아니라 국왕에게 올린 소청에 대한 불윤비답도 있다. 그러나 의윤비답도 이따금 있
비류꼬프 / H. H. Бирюков [정치·법제/외교]
1861-1916. 러시아 포병 장교. 아어학교 교사. 관립 아어학교는 1896년 2월 24일 수하동 도서서에 설립되어 3월부터 수업이 개시되었다. 1896년 5월 4일 법어학교와 같이 북부 박동 전 육영공원으로 교사를 이전하였다. 1907년 4월 비류꼬프를 총사령부
비변사 / 備邊司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중·후기 의정부를 대신하여 국정 전반을 총괄한 실질적인 최고의 관청. 1555년 상설관아로 정제된 비변사는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을 계기로 기능이 확대 강화되었다. 이후 1864년(고종 1) 국가 기구의 재정비를 단행, 의정부와 비변사의 사무 한계를 규
비서랑 / 祕書郎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비서성의 종6품 관직. 정원은 1인. 1298년(충렬왕 24) 1월 충선왕이 선위를 받아 관제를 개혁할 때, 비서성을 비서감으로 고치고 비서랑을 종7품으로 내렸다. 이 때 비서성을 비서감으로 고친 것은 곧 관격(官格)의 격하를 의미한다. 1308년 6월 비서
비서성 / 祕書省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경적과 축무작성 등 관한 일을 관장하던 관청. 고려 초기에 내서성을 설치했다가 995년(성종 14)에 비서성으로 고쳤다. 관원으로 감·소감·승·낭·교서랑·정자를 두었고, 문종 때에 판사와 교감을 더 두었다. 1298년(충렬왕 24)에 비서감으로 고쳤고, 13
비석소재기 / 碑石所在記 [정치·법제]
소재기 문서. 신숙주(申叔舟)의 묘비, 묘암존자(妙巖尊者)의 탑명, 박중손(朴仲孫)의 신도비 등의 소재지와 찬자를 작성한 문서. 각 기록의 상단과 하단에 빗금이나 원형으로 표시하여 점검한 흔적이 있다.
비숍 / Isabella Bird Bishop [정치·법제/외교]
1831-1904. 영국 여행가. 고종과 명성황후 면담. 1856년 1월 런던에서 <미국의 영국 여인>이란 여행기를 간행하였다. 비숍은 일본을 거쳐 1894년 2월 한국에 도착하였다. 1894년 2우러부터 1897년 1월까지 4차례에 걸쳐 한국을 방문했고, 그 결과물로
비순위 / 備巡衛 [정치·법제/국방]
고려시대의 군대명. 금오위는 도성의 경찰의 임무를 맡았다. 금오위의 명칭이 처음 비순위로 바뀐 시기는 충선왕 때이다. 그 뒤 1356년(공민왕 5)에 금오위로 복칭되었다가 1362년에 비순위로, 1369년에는 다시 금오위, 그리고 그뒤 비순위로 개칭되어 조선시대로 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