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서성구 / 徐聖耉 [종교·철학/유학]
1663(현종 4)∼1735(영조 11). 조선 후기의 학자·서예가. 아버지는 숙이다. 1691년(숙종 17) 진사시에 합격하였다. 어려서부터 대자를 써서 이름이 났고 혼자서 학문에 힘써 크게 경지에 이르렀으며, 특히 초서에 능하여 일세에 독보적인 존재가 되었다. 저서
서성구역 / 西城區域 [지리/인문지리]
평양직할시(平壤直轄市)의 중심부 서북쪽에 위치한 구역. 서성구역은 동쪽으로 대성구역, 남쪽으로 모란봉구역과 보통강구역, 서쪽으로 형제산구역, 북쪽으로 룡성구역과 접해 있다. 면적은 9.3㎢이고, 인구는 14만 7,138명(2008년)이다. 구역의 산업시설로는 김종태전기
서성대훈장 / 瑞星大勳章 [역사/근대사]
1902년 9월 추가로 제정, 반포된 훈장. 훈등은 대훈위에 속하고 무등이며, 이화대훈장 위에 있어 황친 및 문무관 가운데서 이화대훈장을 받은 자가 특별한 공이 있을 때 황제의 특지로 수여하였다. 패용할 때는 정장이 오른쪽 어깨에서 왼쪽 허리에 드리우고 부장은 왼쪽 가
서수 / 書手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의 서리직. 고려시대에 각 관청에 소속된 이속직은 크게 서리직과 잡직 계통의 잡류로 나누고, 서리직은 입사직과 미입사직으로 구분된다. 그 중 서수는 장고 등과 함께 미입사직에 해당된다. 서수는 중서문하성에 26인, 예문관에 1인, 비서성에 15인, 어서원에 2
서수라 / 西水羅 [지리/인문지리]
함경북도 경흥군 노서면 서수라동에 있는 지명. 우리나라 최북단의 어항(漁港)이며 군항(軍港)이기도 하다. 조산만(造山灣)의 동쪽 끝에 있으며, 두만강 하류에 있어 러시아와 연결되는 도로가 있고, 부근에 만포(晩浦)ㆍ서번포(西藩浦) 등의 석호(潟湖)가 있다. 이 지역이
서수붕 / 徐壽朋 [정치·법제/외교]
?-1901. 중국 청말 초대 주한공사. 1875년 도원의 직함으로 미일공관 2등 참찬이 되었다. 1898년 안휘휘령지태광도를 제수받고 이어 안휘안찰사로 자리를 옮겼다. 1898년 6월 24일(음력) 청국은 안휘안찰사 서수붕을 3품경당후보로 제수하여 '주찰조선국흠차대신
서술어 / 敍述語 [언어/언어/문자]
문장성분(文章成分)의 하나. 한 문장의 주어로 제시된 인물이나 사물에 대하여 그 동작·상태·성질·유개념을 설명하는 말로서, 주어와 함께 문장의 두 주요성분을 이룬다. 주어와 서술어의 관계(주술관계)를 가진 구성을 주술구성(主述構成)이라 하는데, 전통문법(傳統文法)의 ‘
서승보 / 徐承輔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14∼1877). 1856년(철종 7) 별시 문과에 급제하여 충청우도암행어사·승지를 차례로 지냈다. 1864년(고종 1) 이조참의 이후 예조참판·예문관제학·홍문관제학·이조참판·한성부판윤·형조판서에 이르는 등 내외직을 역임하였으며, 글씨에 능하였다
서식 / 徐湜 [종교·철학/유학]
1561(명종 16)∼1644(인조22). 조선 중기의 지사. 아버지는 봉사 충립이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장 김천일·고경명과 함께 의병을 일으켰으나 병으로 물러났다. 1597년 정유재란이 일어나자 고향 사림들의 추천으로 다시 의병장이 되어
서신보 / 徐臣輔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31∼1908). 1855년(철종 6) 정시 별시 문과에 급제하였다. 1861년 성균관대사성에 이르렀다. 1865년(고종 2) 이조참의를 거쳐 승지를 지낸 이후, 이조참판·사헌부대사헌·중추원1등의관·장례원경·궁내부특진관 등을 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