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서낭대싸움 [생활/민속]

    경상남도 창녕군 영산(靈山) 지방에 전승되는 민속놀이. 쇠머리대기싸움에 앞서 서전(序戰)으로 서낭기를 들고 싸우는 놀이이다. 영산 쇠머리대기싸움은 지금은 3월 1일 줄다리기와 함께 행해지나, 옛날에는 음력 정월 대보름날에 거행하였다. 먼저 서낭대싸움이 있고 그 다음에

  • 서넙도 / 西넙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완도군 노화읍 방서리에 있는 섬. 동경 126°30′, 북위 34°09′에 위치한다. 보길도(甫吉島)에서 북서쪽으로 3㎞, 넙도[芿島]에서 서쪽으로 0.9㎞ 지점에 있다. 면적은 0.29㎢이고, 해안선 길이는 5.4㎞이다. 2009년 기준으로 인구는 169명(

  • 서대관전보좌후장무일도상 / 書大觀殿黼座後障無逸圖上 [문학/한문학]

    고려 중기에 김인경(金仁鏡)이 지은 한시. 오언절구로 대관전 보좌 뒤 가리개에 그려진 무일도 위에 씌어졌던 작품이다. 약칭 ‘서보좌후장상(書黼座後障上)’으로도 알려져 있다.‘무일(無逸)’이란 안일에 흐르지 않아야 함을 뜻하며, 이는 임금을 경계한 말이다. 최자(崔滋)가

  • 서대구산업단지 / 西大邱産業團地 [지리/인문지리]

    대구광역시 서구 이현동에 있는 산업단지. 이 단지는 1976년 3월에 착공하여 1977년 12월에 준공된 제1차지역과 1978년 9월에 착공하여 1979년 12월에 준공된 제2차지역으로 구분되며, 이들간에는 그린벨트를 형성하여 차단수림대(遮斷樹林帶)를 통한 공해방지기능

  • 서대산 / 西臺山 [지리/자연지리]

    충청남도 금산군 추부면과 군북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905.3m. 충청남도의 남동부를 이루는 금산고원 중의 한 산으로 이 일대는 충청남도에서 가장 높으며 서대산은 충청남도의 최고봉이다. 동북∼남서방향으로 뻗어 면계(面界)를 이루며 남쪽으로 갈수록 점차 낮아진다. 서

  • 서대주전 / 鼠大州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한문 필사본. 이 작품으로는 문선규본(文璇奎本)과 『문장(文章)』(제2권 제4호)에 수록된 것이 있으며, 이 두 작품은 동일계 이본이다. 쥐들의 소송사건을 소재로 한 의인소설은 이 작품 외에도 국문본인 「서동지전(鼠同知傳)」

  • 서덜취 / Sausaurea grandiflora MAX. [과학/식물]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 깊은 산간에서 자라는 다년초이며 키가 30∼50㎝ 정도 자라고 근생엽(根生葉)은 꽃이 필 때 사라진다. 밑부분의 잎은 잎자루가 길고 잎이 크지만 위로 올라 갈수록 짧아지고 작아진다. 잎자루는 길이 5∼12㎝이다. 줄기에 달린 잎은 달걀

  • 서도 / 西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여수시 삼산면에 속하는 섬. 여수 서남쪽 91㎞에 있다. 동도(東島)·고도(古島)와 함께 거문도를 이룬다. 동경 127°18′, 북위 34°01′에 위치한다. 삼산면의 섬 중 가장 큰 섬이다. 2008년 말 현재 서도가 속해 있는 삼산면의 전체 인구는 2,59

  • 서도과 / 西道科 [역사/조선시대사]

    조선시대 평안도와 황해도에서 실시된 특별과거. 국방상의 요지인 평안도와 함경도에는 3년마다 정기적으로 열리는 식년시 이외 시재나 별시가 자주 실시되었다. 1643년(인종 21) 평안도에 서도과를, 1664년(현종 5) 함경도에 북도과를 각각 창설하였다. 고시과목은 부

  • 서동요 / 薯童謠 [문학/고전시가]

    신라 진평왕 때 백제 무왕이 지었다는 향가. 4구체. 이 노래는 『삼국유사』 기이(紀異) 제2 무왕(武王)조에 수록되어 있는 서동설화(薯童說話)에 끼어 전한다. 이 설화에 의하면, 이 노래는 백제 무왕이 소년시절에 서동으로서 신라 서울에 들어가 선화공주를 얻으려고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