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서구도올 / 西寇禱杌 [문학/한문학]

    1812년(순조 12) 조수삼(趙秀三)이 지은 한시. 1811년에 일어났던 홍경래(洪景來)의 난을 소재로 하여 1812년 7월에 쓴 것이다. 『추재집 秋齋集』 권2에 실려 있다. 『풍요삼선 風謠三選』의 권3에도 실려 있다. 모두 1,860언 372구의 장편 오언고시이다

  • 서귀본향당본풀이 [문학/구비문학]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서귀(西歸)·동홍(東烘) 두 마을의 수호신의 본풀이. 이 신을 모신 본향당은 서귀포시 서귀동에 있다. 해마다 정월 초하룻날 과세문안제, 2월 13일 영등손맞이, 7월 13일 마불림대제, 11월 14일 본향당신 생신제를 지낸다. 이 제일의 당굿 때

  • 서귀포수력발전소 / 西歸浦水力發電所 [경제·산업/산업]

    제주도 서귀포시 서귀동 천지연에 있었던 수력발전소. 제주도 최초의 발전소로서 200㎾급 수력발전설비 1기가 1943년 11월에 준공되어 1972년 7월까지 약 29년간 가동되었다. 또한 발전소 구내에 1956년 6월 100㎾급 내연발전기 1대가 증설되어 10년간 운용되

  • 서귀포시먼나무 / 西歸浦市─ [과학/식물]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서귀동에 있는 먼나무. 서귀포 구시청사 구내에 있는 먼나무는 그 크기에 있어서나 아름다움에 있어서 제주도의 자랑거리라 할 수 있다. 나무의 높이는 6.5m, 가슴높이의 줄기둘레는 1.4m인 거목으로 수관(樹冠)이 사방으로 고루 발달하였고 지름이

  • 서귀포항 / 西歸浦港 [지리/인문지리]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에 있는 무역항구. 제주도 남부지역의 화물수송 거점항이며 연근해로 출항하는 어선들의 모항으로서 어업전진기지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서귀포 해안가에 자리하고 있는 미항으로 국제적인 관광항으로서의 역할도 기대된다. 2009년의 전체 입출항 선박은 9

  • 서기수 / 徐淇修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71∼1834). 1801년 급제 후 한림원기거주가 되었으나 곧 모함으로 유배되었다. 5년의 유배생활 동안 오직 독서에만 전념하였다. 풀려나자 백두산을 유람한 뒤 〈유백두산기〉를 썼다. 이후 세자시강원문학, 성균관대사성, 이조참의 등을 지냈다.

  • 서기체이두 / 誓記體吏讀 [언어/언어/문자]

    이두를 향찰, 이두, 구결, 고유명사 표기 등 모든 차자표기를 대표하는 말로 볼 때, 한자의 실사만을 우리말 어순으로 배열한 이두를 이르는 말. 이두 발달 단계의 초기에는 임신서기석(壬申誓記石)에서와 같이 한자의 실사만을 우리말의 어순으로 배열한 표기 방법이 있었다.

  • 서낙동강교 / 西洛東江橋 [지리/인문지리]

    부산광역시 강서구 강동동과 봉림동을 연결하는 교량. 1981년부마고속도로(釜馬高速道路)의 부대교량으로 준공되었으며, 너비 21.4m, 길이 429m이다. 상부구조는 30m의 PSC 거더(girder) 14경간으로서, 1경간·3경간·4경간 연속거더로 구성되었으며, 하부구

  • 서남동 / 徐南同 [종교·철학/개신교]

    1918년∼1984년. 신학자·개신교 목사. 전라남도 신안 출생. 전주 신흥학교, 일본 도시샤대학 신학과를 거쳐 캐나다 터론토 임마누엘신학교에서 신학석사 과정을 마쳤다. 대구에서 목회활동을 하다가 한국신학대학과 연세대학교 교수를 역임하였다. 그는 종래의 그리스도론적인

  • 서남방언 / 西南方言 [언어/언어/문자]

    전라도 지역에서 사용되는 방언. 서남방언은 대방언권의 하나로, 노령산맥을 경계로 전북 방언과 전남 방언으로 나뉜다. 대체로 전남방언 화자들은 어미 ‘-으니까’를 ‘-응깨’로 발음하며, 전북방언 화자들은 ‘-응개’로 발음한다. 서부와 남부의 많은 섬 지역들이 어촌 방언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