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서경별곡 / 西京別曲 [문학/고전시가]
고려시대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속요. 『악장가사(樂章歌詞)』·『대악후보(大樂後譜)』·『시용향악보』에 실려 있어 악곡 구조를 알 수 있다. 그러나 작자와 제작 동기에 관한 기록이 없어 작품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많다. 「청산별곡(靑山別曲)」과 더불어 궁중악장 가운데 대
서경보 / 徐耕輔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71∼1839). 종태의 현손, 증조는 명균, 할아버지는 지수, 아버지는 유신이다. 이조판서 영보의 동생이다. 음보로 순창·예천의 군수를 지내다가, 1825년 장원으로 급제, 대사성이 되었다. 1828년 전라도감찰사로 부임하였으나 탄핵을 받고 파
서경언해 / 書經諺解 [언어/언어/문자]
『서경(書經)』을 언해한 책. 5권 5책. 활자본. 선조 때나 광해군 때에 간행된 다른 경서언해들은 표기법상의 특징인 ㅿ이나 ㆁ이 한자음(漢字音)의 표기에서나마 나타나지만, 현재 전하는 『서경언해』 중에는 그러한 예를 보이는 판본은 하나도 없다. 다른 경서언해들은 내사
서계 / 書契 [역사/근대사]
조선시대 일본과 내왕한 공식외교문서. 이 문서는 그 규모나 격식이 정해져 있어 엄격하게 지켜야만 했다. 국서의 경우 주첩의 길이는 2척 4촌, 너비는 5촌 5푼이고, 매첩에 4행씩 썼다. 겉의 오른편에 ‘봉서(奉書)’라고 쓰고, 왼편에는 ‘일본국대군전하’라고 썼다. 그
서계집 / 西溪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 박세당의 시문집. 20권 10책. 목판본. 서·발·부록 등이 없어 편저의 확실한 연대는 알 수 없다. 제1책에 총목이 있고, 다시 각권 머리에 목록이 실려 있다. 권1∼4에 시, 권5에 소차, 권6에 소차·계사·공함, 권7에 서·변론·서(序), 권8
서고청설화 [문학/구비문학]
조선 중기의 학자 서기(徐起)에 관한 설화. 천민 출신으로 학덕이 높았던 서고청에 관한 인물전설로, 『매옹한록(梅翁閑錄)』·『해동이적(海東異蹟)』 등에 수록된 문헌 자료와 충청남도 당진, 전라북도 부안 등에서 채록된 구비설화가 있다. 설화의 내용은 서고청의 출생담이
서곡 / 瑞谷 [지리/인문지리]
함경남도 안변 지역의 옛 지명. 본래 고구려 때의 경곡현(𢈴谷縣, 또는 首乙呑縣)이었는데, 신라 경덕왕 때서곡으로 이름을 바꾸어 삭정군(朔庭郡)의 영현으로 하였다. 고려 현종 때 지명을 크게 바꾸고 정비할 무렵에도 그대로 서곡이라 하였으며, 조선시대도 같은 이름으로
서곽잡록 [문학/구비문학]
조선 전기에 이문흥(李文興)이 지은 야사집. 도남(陶南)본 『패림(稗林)』 소재 『서곽잡록』의 첫머리에 ‘이승지문흥소기(李承旨文興所記)’라 되어 있는데, 『숙종실록』 권63 45년 기해 2월조에 이문흥을 승지로 삼은 기록이 나와 있다. 이 책의 이본으로는 『패림』본(陶
서광문자전후 / 書廣文者傳後 [문학/한문학]
박지원(朴趾源)이 지은 한문소설. 「광문자전」의 속편으로 『연암별집』에 수록되어 있다. 박지원의 초기 작품에 속하는 것으로서 18∼19세기 초, 주로 서울의 각양각색의 서민적 유형들에 대한 묘사이다. 「서광문자전후」의 내용은 거지의 두목 광문이 욕심과 악을 모르며 순진
서광범 / 徐光範 [정치·법제/정치]
조선 후기의 관료·정치가(1859∼1897). 주미 한국공사. 갑신정변을 주도한 개화파 일원. 김옥균·박영효 등과 함께 갑신정변을 일으켰고, 실패하자 일본으로 망명했다. 이후 제2차·제4차 김홍집내각에서 법무대신과 학부대신을 역임했다. 이때 박영효와 함께 제2차 갑오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