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생활한복 / 生活韓服 [생활/의생활]
생활한복은 1990년대 전통한복을 현대 생활에 적합하도록 간략하게 변화를 준 한국적 양식의 의복을 지칭하는 용어. 한복의 전통적인 아름다움을 유지하면서 기능성과 실용성을 현대적인 감각으로 가미한 것이 특징적이다. 현대인의 일상생활에 적합한 한복 유형이라는 의미에서 생활
생황 / 笙簧 [예술·체육/국악]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궁중음악에서 쓰인 대표적인 아악기의 하나. 일명 생·화(和)·우(竽) 또는 이들을 통틀어 생황이라 한다. 악기 분류법에 의하면 생황은 포부(匏部)에 들며, 공명악기(空鳴樂器)의 일종이다. 조선 초기 악기의 몸통에 꽂힌 죽관(竹管)의 수에 따라서 화
서간 / 書簡 [문학/고전산문]
소식을 서로 알리거나 용건을 적어보내는 글.모든 문장은 기록(記錄)과 문서(文書)로 구분되고, 또 문서에는 공적(公的)인 것과 사적(私的)인 것 두 가지가 있는데, 서간은 특별한 경우를 빼고는 후자인 사문서에 속하는 것을 말한다. 서간문의 구성요건은 발신인(發信人)·수
서강대교 / 西江大橋 [지리/인문지리]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과 마포구 신정동을 연결하는 다리. 서울특별시 중서부 지역 중심부인 영등포구 여의도동과 마포구 신정동을 남북으로 연결하는 다리이다. 교량 북단은 창전로와 직결되어 신촌 및 서울 도심 방향으로 손쉽게 진출입 할 수 있으며, 교량 남단은 여의도
서거정 / 徐居正 [종교·철학/유학]
1420(세종 2)∼1488(성종 19). 조선 전기의 문신. 익진 증손, 할아버지는 의, 아버지는 미성이다. 어머니는 권근의 딸이다. 최항이 그의 자형이다. 조수·유방선 등에게 배웠으며, 학문이 매우 넓어 천문·지리·의약·복서·성명·풍수에까지 관통하였다. 훙문관부수
서거차도 / 西巨次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진도군 조도면에 속하는 섬. 하조도(下鳥島)에서 남서쪽으로 14㎞ 지점에 있으며, 진도군 임회면 해안으로부터 남서쪽으로 26㎞ 떨어져 있다. 동거차도(東巨次島)·윗대섬 등과 함께 거차군도(巨次群島)를 이룬다. 동쪽에 대마도(大馬島)·관매도(觀梅島), 남서쪽에
서검도 / 西檢島 [지리/자연지리]
인천광역시 강화군 삼산면 서검리에 있는 섬. 2010년 기준으로 인구는 84명(남 41명, 여 43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세대수는 41세대이다. 취락은 섬의 남쪽 선착장 주변에 분포한다. 토지이용 현황은 논 0.39㎢, 밭 0.12㎢, 임야 0.32㎢이다. 넓은 간척
서경 / 署經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조선 시대 관리의 임명이나 법령의 제정 등에 있어 대간의 서명을 거치는 제도. 서경제도의 근본취지는 국왕이나 정조(政曹)에 의해 일단 결정된 사항을 대간으로 하여금 다시 심사하게 함으로써 부당한 인사나 업무처리를 막고 국가의 질서를 바로잡으려는 데 있었다.대간이
서경 / 西京 [문학/고전시가]
고려시대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가요. 원사(原詞)는 전하지 않으며, 그 내용과 내력이 『고려사』 권71 악지(樂志) 속악조에 전하고, 같은 내용이 『증보문헌비고』 권106 악고(樂考) 17에 ‘서경곡(西京曲)’이라는 제목하에 옮겨져 있다. 서경의 백성들이 예양(禮讓)을
서경덕 / 徐敬德 [종교·철학/유학]
1489-1546. 조선 중종 때의 성리학자. 독학으로 공부하였으며 평생을 안빈낙도의 자세로 학문하였다. 그는 장재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그는 이를 기의 작용에 대한 법칙으로 보았다. 따라서 이기의 선후문제에 있어서 이가 기보다 선행한다고 보지 않았다. 이러한 입장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