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상원군 / 祥原郡 [지리/인문지리]
평양직할시(平壤直轄市) 남동부에 있는 군(郡). 상원군은 동쪽으로 황해북도(黃海北道) 연산군(燕山君), 서쪽으로 중화군(中和郡)·사동구역(寺洞區域)·역포구역(力浦區域), 남쪽으로 황해북도 연탄군(燕灘郡)·황주군(黃州郡), 북쪽으로 강동군(江東郡)·승호구역과 접해 있다.
상원방목 / 象院榜目 [언론·출판]
저자 사역원편. 필사본. 1책. 사역원은 고려, 조선시대 외국어의 통역과 번역에 관한 일을 관장하기 위해 설치되었던 관서이다. 이 책은 1741년(영조 17)에서 1867년(고종 4)의 역과 합격자의 명단을 합록한 책이다. 필사자는 미상이다.
상원사 / 上院寺 [종교·철학/불교]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동산리 오대산에 위치한 사찰. 705년 보천과 효명이라는 두 왕자에 의해서 진여원이란 이름으로 창건되었다. 1376년 중창되었다. 1946년 화재로 건물이 전소되었으나 1947년 월정사 주지였던 이종욱에 의해 중창되었다. 현재에도 전국 수도승들에게
상원산 / 上元山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정선군 북면과 북평면에 걸쳐 있는 산. 상원산의 높이는 1,421m이며, 태백산맥의 줄기인 중앙산맥에 속하는 산이다. 상원산의 북쪽에 두루봉(1,226m), 서쪽에 갈미봉(葛味峰, 1,266m), 남쪽에 백석봉(白石峰, 1,170m)·옥갑산봉(玉甲山峰, 1,28
상원수 / 上元帥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무관직. 원수는 원래 상설관이 아니고 군대가 동원될 때 이를 지휘하기 위해서 동원된 통수직이었다. 그런데 고려 말 왜구가 창궐하자 전국적으로 군대를 상주시킬 필요가 있게 되자, 각지에 원수를 파견하여 거의 상설관화되었다. 각 도에 파견된 원수의 수는 정해져
상원암은행나무 / 上院庵銀杏─ [과학/식물]
북한의 행정구역상 평안북도 향산군 향암리에 있는 은행나무. 북한 천연기념물 제92호. 은행나무는 묘향산 상원암 마당에 있는 북한 천연기념물 제89호인 묘향산 소나무와 함께 나란히 서있다. 해발높이는 약 600m이다. 은행나무는 1895년경에 어린 나무모를 심은 것이라고
상원잡영 / 上元雜詠 [문학/한문학]
1906년황현(黃玹)이 지은 한시. 정월 대보름의 여러 가지 풍속을 읊은 작품이다. 『매천집 梅泉集』 권4에 수록되어 있다. 병오고(丙午稿)가 첫머리에 있는 것으로 보면 1906년 정초에 지은 것임을 알 수 있다.「제오 祭烏」·「사우 飼牛」·「치롱 治聾」·「매서 賣暑」
상원향교 / 祥原鄕校 [교육/교육]
평안남도 중화군(현재의 평양특별시 상원군) 상원면 신읍리에 있는 향교. 조선시대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창건되었다. 당시 경내의 건물로는 대성전·명륜당·동무(東廡)·서무(西廡)·동재(東齋)·서재(西齋)·신문(神門) 등이 있었으
상음 / 霜陰 [지리/인문지리]
강원도 통천과 함경남도 안변 지역의 옛 지명. 본래 고구려의 살한현(薩寒縣)이었는데, 신라시대에 경덕왕이 상음으로 고쳐 삭정군(朔庭郡)의 영현으로 하였다. 1018년(현종 9) 지명을 크게 바꿀 때도 계속해서 불려 내려왔으며, 조선시대도 이 이름이 이어졌다. 상음의 한
상응봉 / 上鷹峯 [지리/자연지리]
함경북도 명천군 상고면과 아간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1,308m. 동북쪽에 위치한 칠보산(七寶山, 906m)과 함께, 백두산(白頭山) 산지와 같은 시기에 분출된 현무암산지(玄武岩山地)로 되어 있다. 이 산은 동남쪽의 하응봉(下鷹峯, 1,047m)·상암산(裳巖山,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