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근대 3,89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근대
  • 낭옹집 / 浪翁集 [종교·철학/유학]

    고세장의 문집. 3권 2책. 석판본. 서문은 채산 권상규(1933)가 썼고, 발문은 방예손 고언경과 방예손 고가 지었다. 소화 9년(1934)에 경북 문경군 호서남면 흥덕리 영고사에서 간행, 표제는 낭옹집, 판심제는 낭옹선생일고이다. 이 책은 저자가 사망한 지 260여

  • 낭자회개 / 浪子悔改 [언어/언어/문자]

    1885년경 이수정이 번역한 것으로 추정되는 초기 기독교 전도서. 단권으로 되어 있으며 프랑스 파리 국립 동양어학교의 플랑시(Plancy) 문고 4권에 수록되어 있고 국내에는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이 책에는 저자나 출판일, 출판사 등이 명시되어 있지 않다

  • 낭천민란 / 狼川民亂 [역사/근대사]

    1889년부터 1892년 봄까지 강원도 낭천현(현재 화천군)에서 발생한 민란. 이 난은 호단위로 부과하는 요역인 호역(戶役)이 고르지 못함과, 이서(吏胥)들의 환곡의 부정에 원인이 있었다. 이 난으로 조정에서는 강원감사 윤영신에게 보고하게 하여, 전전 현감 신용과 전

  • 내각 / 內閣 [역사/근대사]

    조선 말기 최고의 행정기관. 1895년 3월에 종래의 의정부를 개편하여, 교지를 받아 행정 각부를 통일하는 책임을 맡은 내각총리대신과 왕을 보필하여 국정을 맡아 처리하는 각부 대신으로 구성되었다. 소속 관원으로는 내각총리대신의 명을 받아 기밀 문서와 내각 서무를 장악하

  • 내각일기 / 內閣日記 [역사/근대사]

    1908년 2월 1일부터 3년 6월 30일까지 내각총리대신이 수행한 업무 등을 기록한 일지. 관청일기. 불분권 15책이다. 이왕직실록편찬용지(李王職實錄編纂用紙)인 원고지에 기록되어 있다. 장서각 소장본의 원본으로서 내각의 총책임자인 내각총리대신의 일과를 날마다 기록한

  • 내국세출입표 / 內國稅出入表 [역사/근대사]

    대한제국기 의 지역별·관부별 수입과 지출 내역을 수록한 경제서. 건(乾)·곤(坤) 2책. 건책에는 경(京)·경성(京城)·충청·전라·경상·평안·황해·강원·함경·수원부·광주부(廣州府)·강화부·개성부별 수입내역을 기록하고, 각 도 면세복호(免稅復戶)가 부록으로 있다. 수입

  • 내무부 / 內務府 [역사/근대사]

    1885년 궁내사무 등을 관장하던 관청. 1885년 5월 통리군국사무아문의 후신이라 할 수 있는 내무부를 대궐 안에 설치하여 군국사무와 궁내사무를 겸하게 하였는데, 의정부와 기타 행정 각부와의 사무한계가 명확하지 않았다. 관원으로는 총리, 독판, 협판, 참의 등의 당상

  • 내무부 / 內務部 [역사/근대사]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내무 행정을 관장하던 중앙행정기관. 내무부의 조직은 1919년 11월 공포된 '대한민국임시관제'에 의해 비서국, 지방국, 경무국, 농상공국 등 4개국으로 구성되었다. 내무부를 총괄하는 내무총장은 헌정주비위원, 선거, 지방 자치, 경찰, 위생, 농상 공

  • 내무아문 / 內務衙門 [역사/근대사]

    1894년 갑오개혁 때 의정부에 설치된 중앙행정기관의 하나로 지방행정을 총괄하는 부서. 1894년 6월 군국기무처의 의안에 따라 궁내부와 의정부로 나누고 내무, 외무, 탁지, 법무, 학무, 공무, 군무, 농상아문 등 8개 아문을 설치하고, 그 해 7월 20일부터는 아문

  • 내부 / 內部 [역사/근대사]

    조선 말기 내무행정을 관장하던 관청. 1894년 내무부와 이조의 소관 업무를 통합, 계승했던 내무아문의 이름을 바꾼 것이다. 1895년 4월에 설치되어 1910년 국권을 상실할 때까지 존속하였다.

페이지 / 390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