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삼화향교 / 三和鄕校 [교육/교육]
평안남도(현재의 남포직할시) 용강군 삼화면 내교리에 있는 향교. 조선 초기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창건되었다. 당시 경내건물로는 대성전·명륜당·동재(東齋)·서재(西齋)·강당·전사청(典祀廳)·내삼문(內三門)·제기고(祭器庫) 등이
삼황산 / 三黃散 [과학기술/의약학]
태음인 체질을 가진 사람이 타박상·낙상으로 심한 충격을 받아 허리에 동통을 느낄 때 사용하는 처방. 요통은 독립된 병이 아니라, 어떠한 질병으로 인해서 나타나는 하나의 증후군이다. 삼황산은 오직 타박·좌섬·어혈로 오는 요통을 치료한다. 처방은 마황·황금·포황·석창포·행
삽교만록 / 霅橋漫錄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의 학자 안석경(安錫儆)의 문집. 6권 5책. 필사본. 그 대략의 내용은 ① 시국에 관한 견해, ② 사물에 대한 느낌, ③ 역사적 사건에 대한 평, ④ 어떤 인물의 행적, ⑤ 일상적인 대화, ⑥ 학문적인 견해, ⑦ 기행한 내용 등을 담고 있다. 『삽교만록』은
삽교천 / 揷橋川 [지리/자연지리]
충청남도 홍성군 장곡면 오서산(烏棲山, 791m)에서 발원한 후, 북류하여 아산만으로 흘러드는 하천. 길이는 61㎞, 유역면적은 1,619㎢이다. 주요 지류로는 청양군 화성면에서 발원하는 무한천(無限川), 천안시 광덕면에서 발원하는 곡교천(曲橋川), 당진시 면천면에서
삽교천방조제 / 揷橋川防潮堤 [지리/인문지리]
충청남도 당진시 신평면 운정리와 아산시 인주면 문방리 사이로 흘러드는 삽교천 하구를 가로막은 둑. 길이 3,360m, 최대너비 168m, 높이 12∼18m. 1976년 12월에 착공하여 1978년 3월 최종 물막이 작업에 성공, 1979년 10월에 완공되었으며, 168
삽교호 / 揷橋湖 [지리/자연지리]
충청남도 아산시 인주면과 당진시 신평면 사이에 있는 호수. 1979년 10월 길이 3,360m의 방조제가 건설됨으로써 생긴 담수호이다. 저수량 8,400만t이고 농·공·생활 용수 공급 능력을 일일당 4만 8,000t, 홍수 때 초당 5,300t을 방류할 수 있다. 본래
삽시도 / 揷矢島 [지리/자연지리]
충청남도 보령시 오천면 삽시도리에 있는 섬. 2011년 기준으로 인구는 483명(남 244명, 여 239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세대수는 237세대이다. 취락은 섬의 북부에 집중하며, 일부는 해안을 따라 분산되어 분포한다. 섬의 생김새가 화살을 꽂은 활과 같다는 데에서
삿무늬토기 / ─土器 [역사/선사시대사]
토기 표면에 두들개를 이용해 돗자리무늬가 시문되어 있는 초기철기시대의 토기. 이 토기에 보이는 새로운 기법으로는 정선된 바탕흙[胎土]의 사용과 더불어 기존의 노천요(露天窯)와는 다른 폐쇄요(閉塞窯), 즉 지붕을 가진 실요(室窯) 또는 터널식 요의 사용을 들 수 있다.
상 / 上 [문학]
조선시대 한글편지 투식. 편지를 쓰다 여백이 없어서 편지의 위쪽에 쓴 내용의 첫행의 앞에 표시하는 방법.
상가야 / 上加耶 [지리/인문지리]
가야연맹체의 한 나라. 고령에 있던 대가야(大加耶)의 별칭으로 생각된다. 상가야라는 말은 다른 곳에는 보이지 않고, 『삼국사기』 악지(樂志) 중 우륵(于勒)이 지은 12곡(曲)의 이름 가운데 이 말에 해당할 수 있는 곡명이 보인다. 12곡의 이름은 ① 하가라도(下加羅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