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근대 3,89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근대
  • 남영 / 南營 [역사/근대사]

    1887년 경상남도 대구에 설치하였던 친군영. 종전의 경상감영군을 친군체제로 개편한 것으로 정식명칭은 ‘친군남영’이었다. 그 지휘관을 남영사라 하였는데 경상도관찰사가 겸임하였다. 이 군영은 갑오개혁 뒤인 1896년에 개편되어 ‘대구지방대’라고 칭하게 되었다.

  • 남이증시문서 / 南怡贈諡文書 [정치·법제]

    1910년(융희 4) 8월 고 병조판서 남이(南怡)에게 '충무(忠武)'란 시호를 내리면서 발급한 직첩. 문서에는 '임환불망국왈충 절충어모왈충'이라 적어 충무란 시호를 내린 연유를 적었다. 1910년(융희 4) 8월 20일《순종실록》에는 서기 등 26명에게 시호를 추증한

  • 남정록 / 南征錄 [역사/근대사]

    백낙완이 동학농민군의 진압과 전투 상황에 대하여 기술한 천도교서. 회고록. 『남정록(南征錄)』의 내용과 소장자로 미루어 저자는 백낙완(白樂浣, 1845∼?)으로 여겨진다. 이 책은 저자가 경리청 대관(隊官)으로 임명된 1893년부터 경리청을 사직한 1896년까지의 회

  • 남조선뱃노래 / 南朝鮮─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동학가사. 필사본. 『수운가사(水雲歌辭)』 10편 중 제5편으로 수록되어 있다. 김광순(金光淳)이 경상북도지방에서 발굴, 소장하고 있으며, 4음보 1행으로 총 137행이다. 천지로 배를 모아 요순우탕(堯舜禹湯)으로 채를 잡아 문무주공(文武周公)으로

  • 남포읍지 / 藍浦邑誌 [지리/인문지리]

    충청남도 남포(현 보령시 남포면)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1901년에 편찬한 지방지. 1책. 필사본. 국사편찬위원회에 있다. 내용 구성은 건치연혁(建置沿革)·군명(郡名)·관직(官職)·성씨(姓氏)·산천(山川)·풍속(風俗)·방리(坊里)·전부(田賦)·요역(徭

  • 남풍사 / 남풍사 [예술·체육/무용]

    1922년 하와이의 재미한인들이 한국의 전통예술을 장려하기 위해 조직한 단체. 한국의 고유한 음악과 무용을 재미 한인 2세에게 장려하는 동시에 이를 외국인 사회에 선전하기 위해 설립한 예술단체이다. 1922년 5월 20일 하와이 호놀룰루에서 한국의 음악과 무용을 재미

  • 남해군읍지 / 南海郡邑誌 [지리/인문지리]

    경상남도 남해군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1899년에 편찬한 지방지. 1책(10장). 지도가 첨부된 사본. 표지에는 ‘慶尙南道南海郡邑誌(경상남도남해군읍지)’로 되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이밖에도 『남해현읍지(南海縣邑誌)』 1책이 규장각 도서에 있

  • 남훈태평가 [언론·출판/출판]

    집부(集部) - 사곡류(詞曲類) 백두용(白斗鏞) 저, 목판본, 한남서원, 1920, 1권 1책. 한글로 기재된 시조(時調), 잡가(雜歌), 가사(歌詞) 등의 가사집이다.

  • 낭가사상 / 郎家思想 [종교·철학/유학]

    1920년대의 신채호가 제시한 전통적인 민족사상. 일제하에서 민족사학자들의 정신사관은 낭가사상을 비롯하여 박은식의 '혼', 문일평의 '조선심', 정인보의 '얼', 최남선의 '조선정신' 등으로 나타났다. 낭가사상은 단군조선의 수도제전에서 연맹왕국 시대의 영고, 동맹, 무

  • 낭산문집 / 朗山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학자 이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7년에 간행한 시문집. 원집은 1937년 이후의 아들 이호대(李好大) 등이 편집·간행했고, 권말에 문인 한덕련(韓德鍊)의 발문이 있다. 속집은 원집을 간행할 때 일정(日政)의 검열에 저촉되어 삭제

페이지 / 390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