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삼학팔조 / 三學八條 [종교·철학/원불교]
원불교의 수련요법. 삼학은 인격완성의 세 가지 공부법으로서 정신수양, 사리연구, 작업취사를 말하며, 팔조는 삼학을 촉진시키는 신, 분, 의, 성과 삼학수행에서 버려야 할 불신, 탐욕, 나, 우를 말한다. 삼학은 원불교의 종지인 일원상의 진리를 신앙하고 이를 실현해 나가
삼한습유 / 三韓拾遺 [문학/고전산문]
1814년(순조 14)김소행(金紹行)이 지은 고전소설. 2권 2책. 한문필사본. 속제목은 ‘의열녀전(義烈女傳)’·‘향랑전(香娘傳)’으로 되어 있다. 내용은 조선 숙종조에 경상북도 선산지방에서 발생한 향랑이라는 여성의 원사사건(寃死事件)을 소설화한 것이다. 이 작품의 소
삼한시귀감 / 三韓詩龜鑑 [문학/한문학]
고려말의 문인 최해(崔瀣)가 비점(批點)을 찍고, 조운흘(趙云仡)이 정선한 시선집. 내용은 신라 최치원(崔致遠)으로부터 충렬왕 때 이제현(李齊賢)에 이르기까지 모두 64가(家)주 01) 247수를 시체(詩體)와 작가에 따라 분류하였다. 권상은 오언, 권중과 권하는 칠언
삼한총서 / 三韓叢書 [언론·출판]
저자 미상. 필사본. 책의 구성은 1책 64장이다. 이 책은 박지원이 기획한 <삼한총서> 중 제6책에 해당한다. <탐라문견록>에는 <영해기문>, <탐라기>, <순해록>, <해산잡지>, <탐라문견록>, <귤보> 등 모두 6편의 글이 차례대로 실려 있다.
삼현서원 / 三賢書院 [교육/교육]
전라북도 김제시 백산면 하정리에 있는 서원. 1844년(헌종 10) 지방유림의 공의로 강승(姜昇)·김시습(金時習)·남효온(南孝溫)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던 중 1869년(고종 6) 대원군의 서원철
삼현수간 / 三賢手簡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에 송취대(宋就大)가 송익필·성혼·이이의 서간을 모아서 엮은 서간첩. 조선 중기의 학자 구봉(龜峯) 송익필(宋翼弼, 1534∼1599), 우계(牛溪) 성혼(成渾, 1535∼1598), 율곡(栗谷) 이이(李珥, 1536∼1584) 사이에 왕래한 편지를 모아 후대
삼형제의 재주설화 / 三兄弟─說話 [문학/구비문학]
집을 떠난 삼형제가 각기 재주를 익히고 돌아와 잘살게 된다는 설화. 옛날에 가난하게 사는 농부가 세 아들을 두었는데, 하루는 삼형제에게 평생 동안 먹고 살 수 있는 재주를 한 가지씩 배워 오라하고는 집에서 내보냈다. 삼형제는 세 갈래 길에서 뒷날 다시 만날 것을 약속하
삼화 / 三和 [지리/인문지리]
평안남도 용강 지역의 옛 지명. 1136년(인종 14) 서경기(西京畿)를 나누어 6현을 만들 때 금당(金堂)ㆍ호산(呼山)ㆍ칠정(漆井)의 3부곡(部曲)을 합하여 삼화현을 만들고 현령을 두었다. 그 뒤 원나라의 지배를 받을 때 황주(黃州)의 영현으로 되었으나 충렬왕 때 현
삼화광산 / 三和鑛山 [지리/인문지리]
강원도 동해시 삼화동에 있는 철광산. 철산일대의 지질은 조선계의 대석회암통에 속하는 퇴적암층이 현수체(懸垂體)를 이루고 있으며, 후기에 석영반암(石英班岩)이 이를 관입하였다. 현수체를 이루는 주변부에는 자철광(磁鐵鑛)의 렌즈상(lens狀)을 수반한 스카른대(skarn帶
삼화동해광산 / 三和東海鑛山 [지리/인문지리]
강원도 동해시 삼화동에 있는 석회석 광산. 1960년 최초로 개발되었고 현재 국내 최대규모의 석회석 광산이다. 이 지역을 포함한 태백산지역에는 대석회암통(大石灰岩統)이 넓게 발달하였고, 대규모의 렌즈모양 또는 층상으로 된 대규모의 암체(岩體)를 이루는 것이 많다. 특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