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삼천온천 / 三泉溫泉 [지리/인문지리]
황해도 신천군 궁흥면 삼천리에 있는 온천. 70℃의 무색투명한 알칼리성 온천수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수온이 높은 온천 중의 하나이다. 온천수도 우수하여 위장병ㆍ피부병ㆍ부인병ㆍ신경통ㆍ디스토마에 특효가 있다. 장연선(長淵線)이 통과하는 삼천온천역에서 북서쪽 4㎞ 지점으로 평
삼천포 / 三千浦 [지리/인문지리]
경상남도 사천 지역에 있었던 지명. 본래 행정의 중심지로 발전한 곳이 아니고 포구로서 성장한 곳이었다. 고려 성종 때 조세미를 수송하기 위하여 이곳에 통양창(通陽倉)을 설치하였다. 조창을 중심으로 사람과 물산이 집산하게 되니 여기에 삼천리라는 새로운 마을이 생기게 된
삼천포항 / 三千浦港 [지리/인문지리]
경상남도 사천시에 있는 항구. 삼천포항은 1966년 4월 16일 무역항으로 지정되어 남해안과 서해안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서부 경남의 관문으로서 수출 광석류, 고령토 등을 처리하는 동시에 화력발전소 연료 수송지원항으로 발전하고 있다. 1962∼1966년 사이에 물량장
삼천포화력발전소 / 三陟火力發電所 [경제·산업/산업]
경상남도 고성군 하이면 덕호리에 있는 시설용량 112만㎾의 유연탄전소 화력발전소. 총 48만평 부지에 국내 화력발전소 중 최대 단위기용량인 56만㎾급 기력발전설비 2기와 50만㎾급 표준석탄화력 2기를 보유하고 있다. 제4차전원개발5개년계획(1977∼1981)에 의거 석
삼청공원 / 三淸公園 [지리/인문지리]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청동 북악산 동쪽 기슭에 있는 근린공원. 삼청공원은 서울의 진산인 북악산 기슭에서 삼청천 계곡을 따라 수목이 울창하게 우거져 도심 속의 자연환경이 잘 갖추어진 근린공원이다. 1934년 3월에 삼림공원(森林公園)으로 지정되어 관리되어 오다가, 1940
삼쾌정 / 三快亭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국문활자본. 이 작품은 어사설화를 소설화한 작품으로, 「박문수전(朴文秀傳)」과 같은 계열에 속한다. 이 작품의 첫번째 이야기는 박문수어사설화를 수용한 것이기 때문에, 박문수와 박성수를 같은 인물로 보아도 상관없을 것이다. 이
삼태성설화 [문학/구비문학]
신기한 재주를 익힌 세 쌍둥이가 해를 지키는 삼태성이 되었다는 설화. 중국 연변 일대에서 전승되는 조선족 설화의 한 유형이다. 『조선족민간고사선(朝鮮族民間故事選)』(1985)·『삼태성』(1983) 등에 수록되었다. 『중국민족민간문학(中國民族民間文學)』(1987)이란 책
삼포 / 三浦 [지리/인문지리]
조선 전기 일본인들의 왕래와 거주를 허가하였던 동남 해안의 세 포구(浦口). 지금의 부산진(釜山鎭)에 해당하는 동래의 부산포(釜山浦, 또는 富山浦), 지금의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웅천동에 해당하는 웅천(熊川)의 제포(薺浦, 또는 乃而浦), 지금의 경상남도 방어진과 장
삼학도 / 三鶴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목포시 영해동에 있었던 섬. 무안동 남동쪽에 위치하며 면적은 1.12㎢이었고, 해안선 길이는 4.3㎞이었다. 연륙(連陸) 및 간척공사(1968∼1973)의 완공으로 현재는 내륙과 이어져 영해동의 일부가 되었다. 대삼학도·중삼학도·소삼학도로 구성되었으며 서로 연
삼학역어 / 三學譯語 [언어/언어/문자]
1789년에 문신 이의봉(李義鳳)이 편찬한 외국어 어학서. 필사본. 1권 1책. 『삼학역어』는 일본어(日本語)·만주어(滿洲語)·몽골어[蒙古語] 등 3개국 말을 해설한 책이다. 1789년(정조 13)에 이의봉(李義鳳)이 18세기에 간행된 『몽어유해(蒙語類解)』·『동문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