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삼척선 / 三陟線 [지리/인문지리]

    강원도 동해시 동해역과 삼척시삼척역 사이에 부설된 단선철도. 일제강점기 때 동해선 건설과정에서 부설된 철도로서 길이는 12.9km이다. 1936년에 개통되었으며 1946년 5월 사설철도인 삼척철도주식회사를 국유화하였다. 이 지역의 시멘트수송을 위해 건설된 것으로 영동선

  • 삼척저승굴 / 三陟─窟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한내리에 있는 석회동굴. 삼척저승굴은 동경 129°03′01″∼북위 37°16′47″(표고 225m)에 있으며 폭 0.6m, 높이 0.4m이다. 주굴의 길이가 약 700m, 지굴의 길이가 약 500m로서 총 연장은 1,200m이다. 강원도 기념물

  • 삼척탄전 / 三陟炭田 [지리/인문지리]

    강원도 정선군 신동면 함백으로부터 삼척시 도계읍 고사리에 이르는 광범위한 무연탄전. 삼척탄전은 고생대 평안계(平安系)의 대석회암통(大石炭巖統)에 속하는 너비 10∼15m, 길이 38㎞에 달하는 대탄전으로, 부존 면적 310㎢, 노두 연장 61㎞, 평균 탄질 5,030C

  • 삼척포진 / 三陟浦鎭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삼척도호부에 있던 수군 거진(巨鎭). <신증동국여지승람>권 44 삼척도호부(三陟都護府) 관방조(關防條)에 “三陟浦鎭 在府東八里 有水軍僉節制使營”이라고 하였다.

  • 삼척항 / 三陟港 [지리/인문지리]

    강원도 삼척시에 위치하고 있는 항구. 삼척항은 어선 및 화물선이 이용하고 있으며, 강원 영동지방의 시멘트 수송과 어업전진기지로 역할하고 있다. 삼척항을 이용하는 어선은 약 120여척이다. 2009년의 전체 입출항 선박은 2430척이며 총톤수는 327만 1,977톤에 달

  • 삼척향교 / 三陟鄕校 [교육/교육]

    강원도 삼척시 교동에 있는 향교. 1398년(태조 7)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창건되었다. 1407년(태종 7) 옥서동월계곡(月桂谷)으로 이건하였다가 1468년(세조 14) 현재의 위치로 이건하였다. 갑오개혁 이후 신학제 실시에 따라

  • 삼척화력발전소 / 三陟火力發電所 [경제·산업/산업]

    강원도 삼척시 정하동에 있었던 화력발전소. 2만 5000㎾급 및 3만㎾급 발전설비로 합계 5만 5000㎾의 시설용량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1956년 5월 전력생산을 개시한 이래 동해안 및 태백지구의 주전력공급원으로 활용되어오다 1985년 12월 폐지되었다. 이 발전소는

  • 삼척활기굴 / 三陟活耆窟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삼척시 미로면 활기리에 있는 석회동굴. 길이 300m. 강원도 기념물 제41호. 지층은 고생대의 초기 조선계(朝鮮系) 대석회암통의 풍촌(豊村) 석회암층에 속한다. 지질연대는 약 4억∼5억년 전에 해당되고, 회색과 담홍색 석회암으로 되어 있다. 몇 년 전까지만 하

  • 삼천군 / 三泉郡 [지리/인문지리]

    황해남도(黃海南道) 북서부에 있는 군(郡). 삼천군은 동쪽으로 신천군(信川郡), 서쪽으로 송화군(松禾郡)·장연군(長淵郡), 남쪽으로 태탄군(苔灘郡), 북쪽으로 은율군(殷栗郡)·안악군(安岳郡)과 접해 있다. 동경 125°12′∼125°24′, 북위 38°12′∼38°28

  • 삼천서원 / 三川書院 [교육/교육]

    전라북도 진안군 용담면 월계리에 있었던 서원. 1667년(현종 8) 용담현령(龍潭縣令) 홍석(洪錫)이 본현(本縣)의 안자동(顔子洞)·정자천(程子川)·이천(伊川)·주자천(朱子川)·와룡암(臥龍岩)이라는 지명으로 인하여 중국의 안회(顔回)·정호(程顥)·정이(程頤)·주희(朱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