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삼일재현운동 / 三一再顯運動 [종교·철학/천도교]
1948년 북한의 천도교인들이 남북통일 정부를 수립하기 위해 벌인 운동. 1947년 8월 미소공동위원회가 결렬되자 통일을 염원하던 천도교 원로들은 인구비례로 총선을 실시하여 통일정부를 수립한다는 유엔 결의를 찬성하고 유엔 한국위원단의 내한을 환영하였다. 그러나 북한측
삼일포 / 三日浦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고성군 삼일포리에 있는 호수. 삼일포의 면적은 0.79㎢, 둘레는 5.8㎞, 길이는 1.8㎞, 너비는 0.4㎞, 집수구역면적은 1.775㎢이다. 수면이 맑고 기괴한 암석과 36봉이 호수에 비치어 절경을 이룬다. 예로부터 우리 나라 호수 중 제일 경색이 아름다운
삼자원종기 / 三子遠從記 [문학/고전산문]
조선 후기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고전소설. 국문본. 이 작품은 우화적인 발상으로 신선설화를 소설화한 것이다. 도입부분의 삼자(三子)는 삼사(三士)의 발상과 같으나, 여기서는 불가 대신 신선계를 다루고 있다는 데 그 특징이 있다. 인간세상에서의 수십년의 영위가 신선계 하
삼전도 / 三田渡 [지리/인문지리]
서울특별시 송파구 삼전동에 있었던 나루. 한강 상류의 남안에 위치하여 서울과 부리도(浮里島, 또는 蠶室島인 현재의 잠실지역)를 연결하는 나루터로서 교통의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였다. 삼전도는 1439년(세종 21) 신설되었는데 이는 한강에 설치된 최초의 나루터 중 하나였
삼전론 / 三戰論 [종교·철학/천도교]
1903년 동학의 3대 교주 손병희가 일본에 머무르면서 지은 글. 삼전(三戰)이란 도전(道戰), 재전(財戰), 언전(言戰)을 말한다. 손병희는 일본과 러시아라는 강국 사이에 처한 조선이 위기에 처해 있다고 보고, 국민이 합심단결하여 위기를 극복할 수 있도록 대책을 세워
삼전업 / 三傳業 [교육/교육]
고려시대 과거 가운데 잡업의 한 과. 시험과목은 춘추삼전이 출제되었으며, ≪좌전≫을 대경으로, ≪공양전≫·≪곡량전 ≫을 소경으로 삼았다. 인종 때 제정된 학식에 빠진 것으로 보아 그에 앞서 폐지된 듯하나, ≪고려사≫ 선거지에는 극소수의 급제자가 수록되어 있다.
삼전향나무 / 三田香─ [과학/식물]
북한의 행정구역상 황해북도 황주군 삼전리에 있는 향나무. 북한 천연기념물 제169호. 향나무는 주렴동 마을 어귀에 있다. 주변에는 집들과 논벌이 있고 동쪽 멀지 않은 곳에 황주천이 흐르고 있다. 향나무가 자라는 곳의 토양은 충적토이며 메흙이고 토심이 깊고 거름기가 많으
삼정이정청 / 三政釐整廳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후기에 삼정을 교구하는 일을 관장하였던 임시 관서. 1862년(철종 13) 5월에 설치되었다. 조선 후기의 이정청(釐整廳)은 원래 군제의 문란을 정리하고 군정을 쇄신하기 위한 일종의 양역변통을 위한 제도로서 1703년(숙종 29)에 설치하여 각 군문의 군액을 감
삼조보감 / 三朝寶鑑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 정조·순조·익종의 사적을 수록한 책. 14권 4책. 목판본. 세종의 명령으로 편찬이 시작되고 세조대에 첫 번째 책이 나온 이후 여러 차례에 걸쳐서 이루어졌다. 이 책은 조인영 등이 헌종의 명령을 받아 1848년(헌종 14)에 완성한 것이다. 앞머리에 헌종의
삼족 / 三族 [사회/가족]
부계·모계·처계 친족을 통틀어 부르는 친족용어. 삼족은 본래 아버지·아들·손자를 말하거나, 또는 아버지의 형제자매, 자기의 형제자매, 아들의 형제자매를 이르는 동성삼족(同姓三族)을 뜻했으나, 고려 후기부터는 대체로 이성삼족(異姓三族)까지 뜻하고 있다. 이성삼족은 종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