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삼운성휘 / 三韻聲彙 [언론·출판/출판]

    경부(經部) - 소학류(小學類). 홍계희(洪啓禧) 저, 목판본. 1769년(영조 45) 2책(영본), 全2권, 補1권 3책. 홍계희가 중국의《홍무정운(洪武正韻)》,《사성통해(四聲通解)》,《삼운통고(三韻通考)》등을 참고하여 편찬한 운서이다. 서미(書眉)에 두주(頭註)가

  • 삼운성휘보 / 三韻聲彙補 [언론·출판/출판]

    경부(經部) - 소학류(小學類). 홍계희(洪啓禧) 저, 목판본. 불분권 1책(68장). 중국의《홍무정운(洪武正韻)》,《삼운통고(三韻通考)》,《사성통해(四聲通解)》등을 참고하여 이용하기 쉽도록 편찬한 운서이다.

  • 삼운통고 / 三韻通考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에 편찬된 운서. 1책. 편자, 연대 미상. 내용은 평·상·거·입성 등 사성 순으로 한자를 배열한 106운계『예부운략』을 우리나라 사람이 이용하기 쉽도록 같은 운을 가진 평·상·거성 한자들을 한데 모아 3계단으로 나열, 입성자만 책 끝에 따로 모아 나열하는 방식

  • 삼월삼일등망경루 / 三月三日登望京樓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에 최립(崔岦)이 지은 한시. 칠언율시로 그의 『간이집(簡易集)』 권6 정축행록(丁丑行錄)에 실려 있다. 이 시에서 저자는 먼저 만경루의 아름다운 경치를 말하고, 이어 고향을 그리워하는 마음과 함께 그 시름을 잊기 위해서 석양에 술을 든다고 읊었는데, 일찍이

  • 삼월총파업 / 三月總罷業 [사회/사회구조]

    1947년 3월 22일 조선노동조합전국평의회(약칭 전평)의 ‘남조선해고폭압반대투쟁위원회’가 전국적인 ‘24시간 총파업투쟁’을 벌인 사건. 1946년 9월 전평이 주도한 총파업은 임금 인상과 생활 개선 요구에서 남한 지역만의 단독정부 수립을 반대하는 정치적 파업으로 전개

  • 삼육재활센터 / 三育再活─ [사회/사회구조]

    지체장애인의 전인재활을 목적으로 설립된 사회복지법인. 952년 6월 12일 민영재(閔泳在)가 전쟁과 빈곤으로 버려진 지체장애 아동들의 복지를 위하여, 정부에서 수용보호시설 허가를 얻어 용산구 용문동에 설립하였다. 설립 당시에는 단순한 지체장애 아동의 수용보호를 목적으로

  • 삼의당고 / 三宜堂稿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의 여류문인 김부인(金夫人)의 문집. 2권 1책. 석인본.『삼의당고』의 시에는 남편에 대한 애정과 그리움을 노래한 것이 많다. 『삼의당고』의 「춘규사(春閨詞)」 8수는 봄날에 남편을 그리는 여심을 노래한 것으로 매우 서정적이다. 「오동우(梧桐雨)」·「도의사(擣

  • 삼의당김씨 / 三宜堂金氏 [문학/구비문학]

    조선 후기의 여류시인. 본관은 김해(金海). 전라도 남원 서봉방(棲鳳坊)에서 태어나 같은해 같은날 출생이며 같은 마을에 살던 담락당(湛樂堂)하립과 혼인하였다. 삼의당김씨의 문집에 기록된 것처럼 남편 하립이 그 부인이 거처하는 집의 벽에 글씨와 그림을 가득히 붙이고 뜰에

  • 삼일밤나무 / 三一─ [과학/식물]

    북한의 행정구역상 함경남도 신포시 호만포리에 있는 밤나무. 북한 천연기념물 제423호. 삼일밤나무는 호만포리 동쪽 감후봉의 남쪽 기슭에 퍼져있다. 밤나무는 3·1운동 때 이곳 주민들이 독립만세를 부르고 그것을 기념하여 심었다고 한다. 밤나무밭은 3·1이라는 글자처럼 보

  • 삼일신고 / 三一神誥 [종교·철학/대종교]

    대종교 경전의 하나. <삼일신고><천부경><팔리훈><신사기> 등의 계시경전과 나철이 저술하고 서울이 주해를 붙인 <신리대전>, 서일이 저술한 <회심경> 그리고 윤세복이 임오교변 당시 저술한 <삼법회통>이 있다. 이 중에서 천부경, 삼일신고, 팔리훈은 각각 조화경, 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