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삼승할망본풀이 [문학/구비문학]
제주도 무당굿에서 구연되는 서사무가. 이 본풀이는 꽃 가꾸기 경쟁에서 이긴 신이 산육신, 곧 ‘생(生)의 신’이 되고, 진 자는 죽음의 신이 되었다는 이야기로, 삶의 신인 이승의 신과 죽음의 신인 저승의 신이라는 대립 구조에서 삶의 신의 승리로 결말 짓는 산신신화(産神
삼십본산연합사무소 / 三十本山聯合事務所 [종교·철학/불교]
일제강점기에 삼십본산이 포교와 교육 등 공동의 사업을 위해 조직한 단체. 1911년 조선사찰령이 반포되어 전국의 사찰이 삼십본산으로 구분되고, 각 본산에는 주지가 임명되었다. 1914년말 삼십본산연합제규를 제정, 선교양종삼십본산회의소를 설립, 다시 삼십본산연합사무소로
삼십일본산 / 三十一本山 [종교·철학/불교]
일제강점기에 전국 사찰을 31개 구역으로 구분하여 본산을 두었던 제도. 일제는 1911년 6월 3일 '조선사찰령'을 공포하고, 같은 해 9월 1일 동시행규칙을 발표하였다. 이 법령은 일제의 식민지 종교정책의 하나로 시행된 것으로, 삼십본산을 정하여 전국의 1,300여
삼악산 / 三嶽山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춘천시 서면과 신동면에 걸쳐 있는 산. 삼악산 산록에는 도로를 따라 금성사·등선폭포(登仙瀑布)·신흥사(新興寺) 등이 있으며, 능선을 오르면 대원암(大院庵)·상원사(上院寺)·흥국사(興國寺) 등 오래된 사찰이 있다. 산정에 오르면 의암호(衣巖湖)나 춘천시가 내려다보
삼역총해 / 三譯總解 [언어/언어/문자]
1774년(영조 50)에 펴낸 만주어(滿洲語) 독본 교재. 초간본은 전하지 않고 『중간삼역총해』만 볼 수 있다. 『중간삼역총해』는 검찰관 김진하(金振夏)·고사언(高師彦)이 초간본을 수정하고 서사관(書寫官) 장재성(張再成)이 썼다. 만문(滿文) 『삼국지』 가운데 10회분
삼연가 / 三然歌 [문학/고전시가]
작가·연대 미상의 동학가사. 삼연(三然)이란 불연(不然)과 기연(其然) 그리고 자연(自然)을 말한다. 불연지중(不然之中)에 자연지리가 있으며, 자연 가운데 불연사(不然事)가 있다고 하여, 세상의 이치가 자연스런 가운데 변화가 있음을 깨우치도록 노래한 가사이다. 이러한
삼연집 / 三淵集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의 학자 김창흡(金昌翕)의 시문집. 36권 18책. 목판본. 1753년 문인 유척기(兪拓基)가 간행하였다. 습유(拾遺) 32권이 따로 있다. 1권1∼16에 시, 권17∼22에 서(書), 권23에 서(序), 권24에 기, 권25에 제발(題跋), 권26에 잡저,
삼옥삼주기전 / 三玉三奏記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국문필사본. 이 소설은 합본되어 있는 「최익성전」과 마찬가지로 남녀 주인공의 영웅적 활약과 이들 간의 결연을 다룬 여성 중심의 영웅소설 유형에 속한다. 그러나 영웅소설에서 일반적으로 설정되는 적대자가 등장하지 않아 뚜렷한 갈등
삼옥삼쥬긔 [언론·출판]
저자 미상. 필사본. 책의 구성은 1권 1책 62장 한글 소설이다. <삼옥삼쥬긔>는 총54면에 걸쳐 필사되었다. 전체적으로 유려한 달필의 한글서체로 필사되 있는데, 48면의 반엽 정도가 부분적으로 조악한 초심자의 필체로 되어 있다.
삼운보유 / 三韻補遺 [언어/언어/문자]
조선 숙종 때의 문신 박두세(朴斗世)가 『삼운통고(三韻通考)』를 수정, 증보한 책. 5권 2책. 목판본. 현존하는 『삼운통고』에는 크게 보아 임진왜란 이전의 간본과, 그보다 표제자의 수효가 늘어난 무신자본(戊申字本)의 두 이본이 있는데, 이 책은 후자를 저본으로 하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