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근대 총 3,89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근대
남궁억 / 南宮檍 [교육/교육]
항일기의 독립운동가·교육자·언론인(1863-1939). 자는 치만(致萬). 호는 한서(翰西). 1896년 독립협회를 창립하여 고위급 지도자로 활동하였다. 1898년 9월 《황성신문》을 창간하고 사장에 취임하였다. 1912년 상동청년학원 원장을 겸하면서 독립사상 고취,
남노전신선 / 南路電信線 [경제·산업/통신]
1888년에 준공된 한성에서 부산 간의 전신선로. 남로전신선은 조선전보총국의 주관하에 독자적으로 가설되었다. 1888년 3월 6일에는 한성에서, 3월 18일에는 부산에서 각각 공사가 착공되어 같은 해 5월 27일 준공되었다. 남로전신선의 가설을 둘러싸고 한때 일본과의
남당선생한씨부훈 / 南塘先生韓氏婦訓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유학자 한원진이 부녀자가 힘써야 할 덕목과 범절에 대하여 저술한 교훈서. 여훈서. 모두 11장으로 (1) 총설장(總說章) (2) 사부모구고장(事父母舅姑章) (3) 사가장장(事家長章) (4) 접형제제사장(接兄弟娣姒章) (5) 교자부장(敎子婦章) (6) 대첩잉장
남대문교회 / 南大門敎會 [종교·철학/개신교]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소속 교회. 1904년 제중원이 남대문 밖 세브란스병원으로 이전하면서 교회도 남대문밖교회 또는 남문밖교회로 불리웠다. 1910년 12월 새로운 교회당을 건축했으며, 1912년 박정찬이 초대 담임목사로 부임하였다. 1919년에 교인 이갑성, 함태영
남도본사 / 南道本司 [종교·철학/대종교]
대종교의 교무, 행정기관으로 한반도를 관할구역으로 하는 도본사의 명칭. <대종교규범> 제3장에 따르면, 백두산을 중심으로 동남서북으로 나누어 각각 도본사를 두도록 되어 있으나, 광복 이후로는 남한을 관할하는 남도본사만이 현존한다. 이는 다시 남1도, 남2도, 남3도,
남로전신선 / 南路電信線 [경제·산업/통신]
1888년에 준공된 한성(지금의 서울)∼부산 간의 전신선로. 우리 나라 최초의 전신선로는 1885년 9월 28일 개통된 한성∼제물포(지금의 인천)간의 전신선이다. 이 전신선은 청나라의 주도 아래 가설되었고 한성전보총국이라는 청나라의 기구에 의하여 운영되었으나, 남로전신
남산집 / 南山集 [종교·철학/유학]
개항기부터 해방 이후까지 생존한 유학자 정찬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78년에 간행한 시문집. 17권 1책. 석인본. 고려대학교 도서관과 국민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에 사부(詞賦) 21편, 시 191수, 권2에 서(書) 22편, 권3에 논 5편, 설 5편, 의
남악서원 / 南岳書院 [교육/교육]
경상남도 진주시 금곡면 죽곡리에 있는 서원. 1919년 개국공(開國公) 김유신(金庾信)의 사당이 있었던 곳에 지방 유림들이 중건한 서원이다. 남악서원에는 김유신과 관련된 전설만 전해지지만 서원으로 승원하면서 경주 서악서원(西岳書院)의 사례에 따라서 유학자인 홍유후(弘儒
남양읍지 / 南陽邑誌 [지리/인문지리]
경기도 남양(현 화성시 남양동)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1899년에 편찬한 지방지. 1책. 지도가 첨부된 필사본. 장서각 도서에 있다. 이밖에도 1899년에 편찬된 『남양군읍지』가 규장각 도서 등에 있다. 내용 구성은 연혁(沿革)·방리(坊里)·결총(結摠
남연군사우젼배의 [정치·법제]
흥선대원군의 아버지인 남연군의 사당에 가서 전배하는 절차를 한글로 기록한 문서. 띄어 읽는 단위마다 글자 오른쪽에 점이 찍혀 있는 걸로 보아 홀기의 일종으로도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