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삼법사 / 三法司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사법권을 가진 세 관청. 형조·사헌부·한성부 또는 사헌부·장례원·한성부를 일컫는다. 법사란 사법권을 지닌 기관을 의미한다. 형조는 사법행정의 감독기관인 동시에 복심재판기관, 사헌부는 언론기관인 동시에 결송기관, 의금부는 추국기관인 동시에 특별재판기관, 장례원
삼법회통 / 三法會通 [종교·철학/대종교]
대종교 경전 중의 하나. 대종교 3대 교주인 윤세복이 저술하였다. 대종교의 수행방법을 밝히고 있다. 한글로는 '세법모두틈'이라고 한다. 삼법은 그침, 고루함, 금함을 말한다. 저자는 <삼일신고>의 진리훈에 나오는 삼법의 이치를 바탕으로 자신의 수행 체험을 근거로 하여
삼별초 / 三別抄 [정치·법제/국방]
고려시대 경찰 및 전투의 임무를 수행한 부대의 명칭. 최씨 정권의 사병으로 좌별초·우별초·신의군을 말한다. 그것이 경찰·전투 등 공적 임무를 수행했으므로 공적인 군대에 준하는 것이다. 최우(崔瑀) 집권기에 나라 안에 도둑이 들끓자 용사를 모아 매일 밤에 순찰, 단속하
삼보광산 / 三寶鑛山 [경제·산업/산업]
경기도 화성시 봉담읍에 있는 납·아연·중정석(重晶石) 광산. 광산일대의 기반암은 편마암(片麻岩)이다. 광상은 편마암의 열극을 충전한 석영맥(石英脈)으로, 맥의 너비는 약 1.0∼5.0m, 길이는 약 1㎞로 추정된다. 광맥은 10여 곳에 계단상의 단층으로 이어져 있으며,
삼봉광산 / 三峯鑛山 [경제·산업/산업]
경상남도 고성군 삼산면 미룡리에 있는 금·은·구리·납 광산. 광산 일대의 지질은 경상계 신라통에 속하는 진동층(鎭東層)과 후기에 이를 관입한 안산암(安山岩)으로 구성되어 있다. 안산암은 심한 변성작용을 받아 암록색을 띠며 부분적으로 녹니석화작용(綠泥石化作用)을 받았다.
삼봉산 / 三峯山 [지리/자연지리]
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마천면과 전라북도 남원시 산내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1,187m. 소백산맥 남부에 있는 산으로 북으로 상산(霜山)·월경산(月鏡山)을 거쳐 덕유산과 연속되고 남으로는 백운산·지리산으로 계속된다. 산의 남쪽은 지리산국립공원 북쪽에 연하여 있으며
삼봉서원 / 三峯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영주시 이산면 신암리에 있었던 서원. 1654년(효종 5) 지방유림의 공의로 김이음(金爾音)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714년(숙종 40) 김개국(金盖國)·김륭(金隆) 등을 추가 배향하여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
삼봉유적 / 三峰遺蹟 [역사/선사시대사]
함경북도 종성군 남산면 삼봉리에 있는 신석기시대 말기부터 무문토기시대에 걸친 시기의 유물산포지 유적. 이 일대는 일제시대부터 알려져 많은 유물이 채집되었다. 철도공사 중 한 구덩이에서 자작나무껍질로 만든 그릇·반월형석도·달도끼〔環狀石斧〕·타제석촉·원반형석기·단도마연토기
삼봉처 / 三峰處 [지리/인문지리]
경기도 화성 지역의 옛 지명. 발생시기나 소멸시기는 확실하지 않으나, 18세기 이후의 문헌에 삼봉면(三峯面)으로 기재되어 있는 점으로 보아 이 시기에 소멸된 것으로 추측된다. 현재 삼봉처가 있었던 지역에 삿갓골이라는 지명이 있는 점으로 보아 삼봉처의 기능이 삿갓 제작과
삼부연 / 三釜淵 [지리/인문지리]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신철원리에 있는 소(沼). 높은 절벽 사이로 쏟아지는 폭포수가 떨어지는 지점에 가마와 같이 생긴 곳이 세개가 있어 삼부연이라고 하였다. 예로부터 이 곳에서 기우제를 지내면 비가 내린다고 하여, 가뭄이 심할 때에는 이 지방 사람들과 관에서 합동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