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삼관기 / 三官記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에 이재(李縡)가 지은 잡록집. 귀〔耳〕·눈〔目〕·마음〔心〕의 세가지 기관을 통하여 듣고, 보고, 느낀 것을 적어놓은 글이라는 뜻을 가진다. 『패림(稗林)』에 수록되어 있다. 이 책은 상·하 두권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상권에 이관(耳官) 상·하가, 하권에 목관
삼교천 / 三橋川 [지리/자연지리]
평안북도 구성군 이현면의 가인봉(佳人峰, 536m)에서 발원하여 압록강으로 흘러드는 하천. 가인봉에서 북류하다가 의주군 고령삭면의 구창(舊倉) 부근에서 유로를 바꾸어 압록강으로 흘러든다. 길이 약 129㎞. 천순연간(天順年間)에 서장관이던 강기수(姜耆壽)가 이 강물에서
삼구육명 / 三句六名 [문학/고전시가]
고려 초에 최행귀(崔行歸)가 말한 향가(鄕歌) 또는 당시 한국시가 구성의 특징. ‘삼구육명(三句六名)’은 967년(광종 18)에 최행귀(당시 한림학사)가 균여(均如, 923∼973. 당시 귀법사歸法寺 주지) 작 10구체 향가 「보현십원가(普賢十願歌)」(「보현십종원왕가普
삼국사기 / 三國史記 [역사/고대사]
1145년(인종 23)경에 김부식 등이 고려 인종의 명을 받아 편찬한 삼국시대의 정사. 기전체의 역사서로서 본기 28권(고구려 10권, 백제 6권, 신라·통일신라 12권), 지 9권, 표 3권, 열전 10권으로 이루어져 있다. 보물 제723호가 발견되기 전에는 가장
삼국유사 / 三國遺事 [종교·철학/불교]
고려후기 승려 일연이 고조선에서부터 후삼국까지의 유사(遺事)를 모아 편찬한 역사서. 『삼국유사』는 전체 5권 2책으로 되어 있고, 권과는 별도로 왕력(王歷)·기이(紀異)·흥법(興法)·탑상(塔像)·의해(義解)·신주(神呪)·감통(感通)·피은(避隱)·효선(孝善) 등 9편목으
삼국지통속연의 / 三國志通俗演義 [문학/고전산문]
명(明) 나관중(羅貫中)이 지은 소설 『삼국연의(三國演義)』의 번역본. 후한(後漢) 말, 동탁(董卓)과 십상시(十常侍)들의 농간에 빠진 나라를 구하고, 한 왕실의 권위를 회복한다는 명분 아래, 유비(劉備), 손권(孫權), 조조(曹操)는 각각 위(魏), 촉(蜀), 오(吳
삼국통람도설 부도 / 三國通覽圖說 附圖 [언론·출판/출판]
사부(史部) - 지리류(地理類) 임자평(林子平) 저, 필사본(채색), 6책(도설 1책, 도 5책). 일본 강호시대의 경제학자였던 하야시 시헤이의 저작인《삼국통람도설》과 부록인 5첩 지도의 간행본을 필사한 책이다.
삼군도총제부 / 三軍都摠制府 [정치·법제/국방]
고려 말 조선 초에 있었던 상급 군령 기관. 조선 건국 후 최고 군령 기관인 삼군도총제부는 1393년(태조 2) 의흥삼군부, 1401년(태종 1) 승추부로 개편되었다. 1403년 삼군도총제부를 설치했다. 1405년 승추부는 병조에 흡수되어 병조의 속아문으로 규정되었다
삼군부 / 三軍府 [역사/조선시대사]
조선 말기에 설치되었던 군령의 최고 기관. 비변사의 권한이 비대화되면서 의정부의 기능이 유명무실하게 되었는데, 비변사의 지나친 비대화를 막고 의정부의 기능을 확대 강화하기 위해, 1865년 3월 비변사를 의정부에 통합하였다. 이 과정에서 군부를 분립하기 위해서 군령의
삼군부청헌당 / 三軍府淸憲堂 [예술·체육/건축]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동 육군사관학교내에 있는 조선 말기의 관아.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6호. 정면 5칸, 측면 3칸인 초익공계 팔작지붕건물. 조선 초기에 경복궁을 중심으로 남쪽에 의정부, 남서쪽에 삼군부를 마주보게 배열하여, 문무를 익히게 하였다. 여러 번에 걸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