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삭녕향교 / 朔寧鄕校 [교육/교육]
경기도 연천군(현재의 강원도 철원군) 삭녕면에 있는 향교. 조선시대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자세한 연혁은 알 수 없으나 당시의 경내건물로는 대성전·명륜당·동무(東廡)·서무(西廡)·내삼문(內三門) 등이 있었다. 대
삭망제 / 朔望祭 [사회/가족]
3년상의 기간 중 매월 초하루와 보름에 신주에게 상식(上食)을 드리는 일. 초하루와 보름이 계절의 변화를 깨닫게 하는 날이므로, 그 날이 되면 상기(喪期)가 줄어들기 때문에 애모하는 마음이 더욱 간절해져서 평소보다 특별히 상식을 올리는 것이며, 제례는 아니다. 예(禮)
삭서 / 朔書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젊은 문신들에게 매달 초하루 해서와 전서를 써 올리도록 하던 제도. 승정원에서는 일상적으로 잘 쓰이지 않는 해서·전서를 권장하기 위하여, 유생·당하문관 가운데서 이에 능한 사람을 추려서 매달 초하룻날 해서와 전서를 써 올리도록 하였다. 해서는 진·초서를 곁들
삭정 / 朔庭 [지리/인문지리]
함경남도 안변 지역의 옛 지명. 본래 고구려의 비열홀군(比列忽郡)이었는데, 신라 진흥왕 때 이곳에 군주(軍主)를 두어 비열주(比列州)라 하였다. 일설에는 신라의 기림왕이 이곳에 들렀을 때 낙랑ㆍ대방의 많은 백성이 귀순하였고, 소지왕은 이곳을 순행(巡幸)하였다고 한다.
삭주군 / 朔州郡 [지리/인문지리]
평안북도 서북부에 위치한 군. 동북쪽은 창성군, 서쪽은 의주군, 남쪽은 태천군·구성군과 접하고, 북쪽은 압록강을 사이로 만주와 마주보고 있다. 동경 124°51′∼125°25′, 북위 40°1′∼40°29′에 위치하며, 면적 1,151.8㎢, 인구 6만 2536명(19
삭주군읍지 / 朔州郡邑誌 [지리/인문지리]
평안북도 삭주군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1899년에 편찬한 지방지. 1책. 채색지도가 첨부된 사본. 규장각 도서에 있다. 이밖에도 한세형(韓世衡) 편저의 영조·정조 연간에 편찬된 것으로 보이는 필사본 『삭주부읍지』 1책이 규장각 도서에 있다. 내용 구
삭주온천 / 朔州溫泉 [지리/인문지리]
평안북도 삭주군 삭주면 온풍동에 있는 온천. 삭주에서 합수천(合水川)을 따라 약 10㎞ 남쪽의 연대봉(烟臺峰, 676m) 북쪽 산록에 있고, 서쪽은 거문산(巨門山, 1,049m), 동쪽은 증봉(甑峰, 787m), 남쪽은 의지령산(衣智靈山, 911m) 등에 둘러싸여 있으
삭주향교 / 朔州鄕校 [교육/교육]
평안북도 삭주군 삭주면 동부동에 있는 향교. 고려 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창건연대는 미상이며, 당시의 경내 건물로는 대성전·명륜당·동무(東廡)·서무(西廡)·동재(東齋)·서재(西齋)·교관실(敎官室)·제기고(祭器
삭주황목련군락 / 朔州黃木蓮群落 [과학/식물]
북한의 행정구역상 평안북도 삭주군 온천노동자구에 있는 일본목련 군락. 북한 천연기념물 제96호. 황목련은 일본목련을 북한에서 일컫는 명칭이다. 일본목련 군락은 온천휴양소 주변의 해발높이 500m의 북쪽 비탈면에 퍼져있다. 주변에는 참나무·가래나무·자작나무·소나무들과 관
산 / 山 [지리/자연지리]
주위의 지면에 대하여 사면을 이루며 높게 돌출한 지형. 산지가 평야에 대비되는 개념이라면 엄밀한 뜻의 산은 산지 지형 중에서 구릉이나 재[嶺, 峙]를 제외한 정상부가 있는 돌출 지형을 지칭한다. 브리태니카백과사전(Encyclopedia Britannica)에서는 언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