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근대 3,89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근대
  • 나정구 / 羅正龜 [역사/근대사]

    1886∼미상.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1915년 김좌진(金佐鎭) 등이 만주에서 조직한 조선군단(朝鮮軍團)의 군사교육기관인 사관학교에서 근무하였다. 1919년 3‧1 운동 후 조직한 대한청년단(大韓靑年團)에 가입하여 소만류구(小萬留構)에서 한국인의 호세(戶稅) 징수

  • 나주군읍지 / 羅州郡邑誌 [지리/인문지리]

    전라남도 나주군(현 나주시)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1899년에 편찬한 지방지. 내용 구성은 건치연혁(建置沿革)·군명(郡名)·관직(官職)·산천·풍속·방리(坊里)·호구(戶口)·전부(田賦)·균세(均稅)·군액(軍額)·성지(城池)·창고·곡부(穀簿)·책판(冊板)

  • 나주홍기응가옥 / 羅州洪起膺家屋 [생활/주생활]

    전라남도 나주시 다도면 풍산리에 있는 조선 말기의 주택. 중요민속자료 제151호. 이 집은 남양 홍씨의 동성부락인 도래마을의 종가로 솟을대문의 문간채와 안채, 사랑채, 사당이 있다. 안채의 상량대에 ‘壬辰三月初七日’이라 쓰여 있는 것으로 보아 1892년에 지어진 것으로

  • 나철 / 羅喆 [종교·철학]

    조선 후기의 대종교의 교조·독립운동가(1863∼1916). 29세 때 문과에 급제, 33세 때 징세서장의 발령을 받았다. 1904년 오기호·이기 등 호남 출신 우국지사들과 유신회를 조직하고 구국운동에 전념하였다. 1909년 1월 15일 제천의식을 거행한 뒤 단군교를

  • 나한소사전 / 羅韓小辭典 [언어/언어/문자]

    19세기 중엽 프랑스 선교사들이 편찬한 휴대용 라틴어·한국어 대역사전. 전 1권. B5판 302면. 확실한 편자는 미상이고 1891년 홍콩에서 출판하였다. 라틴어로 된 제목은 ‘parvum vocabulariumlation-co-reanum ad usum studios

  • 나혜석 / 羅蕙錫 [예술·체육/회화]

    항일기의 여류 서양화가(1896-1948). 호는 정월(晶月). 우리나라 최초 여성 서양화가로 1921년 경성일보사 내청각에서 첫 개인전을 열었다. 조선미술전람회 서양화부에 1회부터 5회까지 입선하였다. 문인활동도 하였다. 대표작 〈나부(裸婦)〉·〈무희〉 등이 있다.

  • 낙산사유람가 / 洛山寺遊覽歌 [문학/고전시가]

    1921년 전의이씨(全義李氏)가 지은 규방기행가사. 먼저 작품의 가사를 싣고, 그 다음에 발사(跋辭)를 첨가하는 형식으로 되어있다. 2음보 1구로 계산하여 전체가 약 3,000여구에 해당하는 장편이며, 음수율에서는 4·4조가 주축이지만, 3·4조, 4·3조, 3·3조

  • 낙안읍지 / 樂安邑誌 [지리/인문지리]

    1906년에 편찬된 전라남도 낙안(지금의 순천시 낙안면) 읍지. 1책. 사본.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이밖에도 조선 영조 연간에 편찬된 것으로 보이는 필사본 『낙안읍지』 1책과 1899년 보성군수 서옥순(徐玉淳)이 편찬한 필사본 『낙안군읍지』 1책 등이 규장각 도서에

  • 난곡유고 / 蘭谷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부터 대한제국기까지 생존한 학자 소승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7년에 간행한 시문집. 4권 2책. 활자본. 1937년에 증손 병택(秉澤)·진정(鎭貞)과 삼종질 진환(鎭晥) 등에 의하여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소규정(蘇奎正)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전태춘

페이지 / 390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