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지리 > 자연지리 1,233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지리 > 자연지리
  • 장진고원 / 長津高原 [지리/자연지리]

    함경남도 장진군 북서부 장진강 상류 유역에 있는 고원. 낭림산맥(狼林山脈)의 동쪽, 연화산맥(蓮花山脈)의 서쪽, 부전령산맥(赴戰嶺山脈)의 북쪽에 자리한 고원이다. 이 사이를 장진강(長津江)이 부전령산맥의 황초령(黃草嶺)을 수원으로 하여 북쪽으로 흐르다가 압록강(鴨綠江)

  • 장진호 / 長津湖 [지리/자연지리]

    함경남도 장진군 장진면·중남면·서한면에 걸쳐 있는 호수. 황초령(黃草嶺, 1200m)·마대산(馬垈山, 1,745m) 등지에서 발원하는 장진강을 하류 40㎞ 지점의 갈전리 협곡부에 중력식 콘크리트댐을 구축하여 조성하였다. 1934년에 완공되었으며, 만수면적 64㎢, 저수

  • 장흥반도 / 長興半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장흥군 장흥읍에서 남해안으로 돌출한 반도. 행정적으로는 강진군 마량면ㆍ칠량면ㆍ대구면, 장흥군 장흥읍ㆍ대덕읍ㆍ관산읍ㆍ용산면ㆍ회진면 등이 있다. 북쪽에는 탐진강(耽津江)이 동에서 서로 흘러 도암만(道巖灣)에 흘러들고, 동쪽은 보성만(寶城灣), 남쪽은 고금도(古今島

  • 재령강 / 載寧江 [지리/자연지리]

    황해도 신천군 두라면과 벽성군 이율면의 지남산(指南山, 623m)에서 발원하여 재령평야를 관류하여 대동강으로 흘러드는 강. 길이 129㎞. 유역면적 3,671㎢. 가항거리는 38㎞로 300t급의 배가 상류의 상해(上海)까지 운항할 수 있어 재령철산의 철광을 송림제철소에

  • 재령산 / 載靈山 [지리/자연지리]

    함경남도 고원군 산곡면과 평안남도 양덕군 온천면·동양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1,208m. 고원군 남쪽에 위치하며 마식령산맥 북쪽에 이어져서 평안남도와 함경남도의 도계를 이룬다. 산의 동쪽에서 남쪽을 돌아 흐르는 계류는 남강(南江)에 합류한다. 산의 북서사면에는 높이

  • 재령평야 / 載寧平野 [지리/자연지리]

    황해도 재령강 유역에 발달한 평야. 1926년에 안녕수리조합(安寧水利組合)·재신수리조합(載信水利組合) 등이 설립되면서 재령평야는 수리시설이 잘 갖추어진 곡창지대로 발전하였다. 재령평야는 ‘나무리벌’이라고도 불리는데,이는 “먹고 입고 쓰고도 남는다.”라고 하여 생겨난 지

  • 재원도 / 在遠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신안군 임자면 재원리에 있는 섬. 동경 126°10′, 북위 35°07′에 위치한다. 목포에서 북서쪽으로 45㎞, 임자도에서 서쪽으로1.5㎞ 지점에 있다. 면적은 3.03㎢이고, 해안선 길이는 11㎞이다. 동쪽 해안의 중앙부에 인접한 부속도서 윗목섬[상항월도,

  • 재치산 / 財峙山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평창군 미탄면과 영월군 영월읍에 걸쳐 있는 산. 재치산의 높이 751m이고, 태백산맥의 줄기인 내지산맥(內地山脈)에 속하는 산으로, 북쪽에 청옥산(靑玉山, 1, 256m), 서쪽에 삼방산(三芳山, 980m)·절개산(節介山, 876m), 남쪽에 완택산(完澤山, 9

  • 저도 / 猪島 [지리/자연지리]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구산면 구복리에 속하는 섬. 진해만의 서쪽에 뻗은 구산반도의 서쪽 끝에 있다. 동경 128°44′, 북위 35°01′에 위치하고, 면적 2.2㎢, 해안선길이 10㎞이다. 섬은 북서에서 남동방향으로 뻗어 있으며(최고높이 203m), 외해에 면한

  • 적금도 / 積金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여수시 화정면 적금리에 속하는 섬. 적금도는 여수 남서쪽 34.5㎞, 낭도 서북쪽 2㎞ 지점에 위치한다. 동경 127°30′, 북위 34°37′에 해당하며, 면적 0.79㎢, 해안선길이 9.0㎞이다. 서북쪽 2.5㎞ 지점에 고흥군, 동쪽 2㎞ 지점에 둔병도가

페이지 / 12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