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사포 / 司圃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사포서의 정6품 관직. 궁중의 원예·채소에 관한 직무를 맡았다. 1466년(세조 12) 관제를 갱정할 때 사포 1인을 두게 되었는데 1882년(고종 19)에 이르러 폐지되었다.

  • 사포 / 司鋪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액정서의 정8품 관직. 정원은 2인이다. 궁궐 내의 포설(鋪設)의 임무를 맡았다. 대전(大殿)의 세수(洗手)·수사간별감(水賜間別監), 세자궁의 사약(司鑰)으로 체아직이다. 이것은 1894년(고종 31) 갑오경장 때 액정서가 폐지되면서 함께 없어졌다.

  • 사포 / 寺浦 [지리/인문지리]

    충청남도 보령지역의 옛 지명. 본래 사포현(寺浦縣)은 백제 때 웅천주(熊川州) 설림군(舌林郡)의 영현이었는데 신라 경덕왕 때 남포(藍浦)로 고쳐 서림군(西林郡)의 영현으로 하였다. 고려 현종 때 가림군(嘉林郡)에 귀속시켰다가 뒤에 다시 현을 설치하였다. 고려 말기 왜구

  • 사포서 / 司圃署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왕실 소유의 원포와 채소재배 등을 관장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던 관서. 조선 궁궐의 밭과 채소경영을 관장. 관원으로는 제조 1인, 사포 1인, 별제 2인, 별검 2인 등으로 구성되었는데, 뒤에 사포와 별검은 없애고 별제도 1인을 감하였다. 1704년(숙종 30)

  • 사하구 / 沙下區 [지리/인문지리]

    부산광역시 중남부에 위치한 구. 동쪽으로 서구, 서쪽으로는 강서구와 접한다. 남쪽으로는 남해에 연하며, 북쪽으로는 사상구와 접하고 있다. 동경 128°56'∼129°00', 북위 34°52'∼35°08'에 위치한다. 면적은 41.75㎢이고, 인구는 33만 7781명(2

  • 사학합제 / 四學合製 [교육/교육]

    조선시대 사학 유생들의 학업권장을 위하여 실시하였던 과거. 1659년(효종 10) 사학 및 동재의 원점법 및 제술지규가 많은 폐단이 있어 폐지, 학관 및 겸교수가 매계절마다 한번씩 순회하여 유생을 모아 고강과 제술시험을 실시하였다. 4기 동안 ≪소학≫·사서로 40인씩

  • 사한일통 / 史漢一統 [역사]

    전기류(傳記類). 명석정에 소장되어 있는 책이다. 책수는 1책, 판종은 목판본이다. 규격은 20.2×16.3cm, 반곽은 20.1×16.3cm이다. 판심제는 사한일통(史漢一統)이다. 권수는 1권 1책이다. 전후 표지가 결락되어 있다. 사기(史記)와 한서(漢書)에서 열전

  • 사할린한인사회 / ─韓人社會 [사회/사회구조]

    러시아령 사할린에 거주하는 우리 동포들의 사회. 사할린 한인 규모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938년부터 1945년까지 일본의 국가총동원령으로 인해 약 15만 명이 강제동원되었다가 2차대전 말기에 10만 명이 일본으로 재배치됨에 따라, 1945년 잔류 인원은 약 4만

  • 사해도목록 / 四海圖目錄 [언론·출판/출판]

    자부(子部) - 유서류(類書類) 편자미상, 필사본, 불분권 1책(74장). 내용은 여지도(輿地圖), 만성목록(萬姓目錄), 관계칭호(官階稱號), 봉화식(烽火式), 동국역대(東國歷代) 등 각종 필요한 내용을 필사한 유서류이다.

  • 사행가사 / 思親歌 [문학/고전시가]

    왕명으로 다른 나라에 다녀온 외교 사절들의 해외 체험을 다룬 가사 작품. 「일동장유가」는 일본 쪽 사행 가사이고, 「병인연행가」는 청나라 쪽 사행 가사다. 전자는 1763년(영조 39) 계미통신사의 삼방 서기로 따라갔던 김인겸의 작품이고, 후자는 1866년(고종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