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사의 / 司議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장예원 소속의 정5품 관직. 정원은 원래 3인었으나 중기부터 2인으로 줄었다. 장예원의 핵심 관원으로 국가의 공노비를 관리하고, 노비 관계의 쟁송을 담당하였다.

  • 사의대부 / 司議大夫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문하부의 관직. 1116년(예종 11)에 4품의 행두로 세웠고, 뒤에 좌우사의대부로 고쳤다. 1298년(충렬왕 24)에 충선왕이 다시 좌우간의대부로 고치면서 종4품으로 낮추었는데, 뒤에 다시 좌우사의대부로 되었다. 1356년(공민왕 5)에 다시 간의대부로 고

  • 사의랑 / 司議郎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동궁에 배속된 관직. 1022년(현종 13) 1인을 정원으로 설치하였고, 1068년(문종 22) 관제정비 때 정원 1인의 정6품관으로 정해졌다. 1098년(숙종 3) 태자를 세우고 관속을 배속할 때까지는 그대로 유지하였으나, 1116년(예종 11) 다시 관속

  • 사의서 / 司儀署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의례의 진행에 관한 업무를 담당하던 관청. 문종 때에 정8품의 영 1인, 정9품의 승 2인을 두었고, 이속직으로 사 4인, 기관 2인을 두었다. 1308년(충렬왕 34)에 영을 2인으로 증원하고, 종8품으로 하였으며, 승은 종9품으로 하였다. 주요기능은 제향

  • 사이고 다카모리 / 西鄕隆盛 [정치·법제/외교]

    1827-1877. 메이지유신 원훈. 정한론자. 세이난 전쟁 참가. 1844년 사이고는 군방서역이 되었다. 1871년 메이지정부에 들어가 친위병을 설치하는 데 진력하였다. 1872년 육군 대장이 되었다. 1873년 사이고는 전권대사를 조선에 파견하여 정면교섭을 시도해보

  • 사이오체육단 / 四二五體育團 [예술·체육/체육]

    북한을 체육 강국으로 만들기 위해 설립된 단체. 1947년 3월 조직된 중앙체육지도위원회 산하 중앙체육강습소 체육단으로 출범한 북한 최대 규모의 단체이다.설립 당시 중앙체육강습소는 전 종목에 걸쳐 북한의 국가대표선수 양성 및 훈련을 담당했다. 이 단체의 명칭에서 4·2

  • 사이온지 긴모치 / 西園寺公望 [정치·법제/외교]

    1849-1940. 근대 일본의 정치가. 청일전쟁 당시 외무대신 대리. 국제협조론자. 1857년 우소장, 1861년 우근위권중장에 임명되고 근습으로 궁중에 출사하였다. 1870년부터 1880년까지 프랑스 소르본대학 법과에서 공부하였다. 1881년 참사원 의관보, 이듬해

  • 사이클 / 사이클 [예술·체육/체육]

    경기용 자전거를 사용하여 속도를 겨루는 기록경기. 아마추어와 프로경기가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아마추어 경기만 행해지고 있다. 사이클경기는 벨로드롬(velodrome)이라 불리는 경기장경기와 도로경기가 있다.벨로드롬은 사이클경기의 전용경기장으로서, 트랙을 비탈지게 하여

  • 사이토저격의거 / 사이토狙擊義擧 [역사/근대사]

    1919년 9월 2일 강우규가 서울역에서 제3대 조선 총독으로 부임해 오던 사이토를 암살하려다 미수에 그친 일. 사이토저격의거는 한민족의 불굴의 독립 의지를 뚜렷이 보여주는 사건이었으며, 한국독립운동사에 일대 전기를 가져왔다. 의거를 계기로 독립운동 방략에 전환을 가져

  • 사인 / 舍人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의정부 정4품의 관직. 정원은 2인이다. 하위의 검상(정5품)과 사록(정8품)을 지휘하면서 실무를 총괄하였다. 그 밖에 중요 국사에 왕명을 받아 삼의정의 의견을 수합하고 삼의정 또는 의정부당상의 뜻을 받들어 국왕에게 아뢰는 등 국왕과 의정부의 사이에서 중요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