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총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곽진 / 郭瑨 [종교·철학/유학]
1568(선조 1)∼1633(인조 11). 조선 중기의 학자. 아버지는 생원 곽한, 어머니는 황언량의 딸이다. 권우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25세에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김성일의 초유문을 읽고 그의 둘째형과 함께 의병을 모집, 화왕산성에 들어가 왜적과 싸웠다. 시문에 능
곽한봉임명문서 / 郭漢鳳任命文書 [정치·법제]
1907년(광무 11) 6월 7일. 효릉의 참봉 곽한봉(郭漢鳳)을 희릉 판임관 5등에 서임하는 임명장. 희릉은 조선 11대왕 중종의 첫 번째 계비인 장경왕후 윤씨의 무덤이다. 3개의 왕릉(희릉, 효릉, 예릉)과 후궁, 대군, 공주의 무덤들로 이루어진 서삼릉 경내에 있다
곽해룡전 / 郭海龍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국문필사본과 함께 1917년영창서관(永昌書館)에서 발행한 활자본이 전한다. 원나라 때 인물인 주인공 곽해룡의 영웅적인 무용과 충렬을 그린 작품이다. 이 계통의 다른 소설들과 마찬가지로 주인공에게 초인적인 힘을 부여하여 영웅화하였다는 점에서
곽현 / 郭鉉 [종교·철학/유학]
1575(선조 8)∼1661(현종 2). 조선 중기의 학자. 아버지는 인의 곽자견, 어머니는 찰방 정유건의 딸이다. 조헌과 김장생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송시열의 아버지 송갑조와 교분이 두터웠다. 1623년 인조반정 뒤 학행으로 천거되어 창릉참봉에 제수되었으나 취임하지
관 / 管 [예술·체육/국악]
조선 전기부터 말기까지 궁중아악에서 쓰인 관악기. 우리 나라에 최초로 도입된 아악기, 즉 고려 예종 11년(1116)의 대성(大晟) 아악기에는 관이 포함되어 있지 않으며, 조선 초기에 와서야 문헌에 등장한다.
관 / 關 [정치·법제/법제·행정]
품급이 같은 아문 사이에 서로 보내고 받는 문서 . 또는 높은 아문에서 낮은 아문에 보내는 공문서를 관 또는 관문이라고 한다.
관가정문집 / 觀稼亭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이광정의 시·서(書)·소·회계 등을 수록한 시문집. 2권 1책. 목활자본. 권두에 장승택(張升澤)의 서문과 권말에 후손인 석기(奭基)의 지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국민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권1은 시 4수, 서(書) 2편, 소(疏) 1편, 회계(回啓
관각당상 / 館閣堂上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홍문관·예문관·규장각 소속의 당상관. 홍문관의 대제학·제학·부제학, 예문관의 대제학·제학·직제학, 규장각의 제학·직제학을 말한다. 홍문관·예문관은 보통 한 사람이 겸직하여 양관대제학이라 칭하였으며, 예문관의 직제학은 도승지가 당연직으로 겸임하였다.
관각류집 / 館閣類集 [역사/근대사]
조선후기 궁중의 당이나 전을 지을 때 지은 명신들의 기·상량문 등의 관각문자를 모은 기문집(記文集). 1책. 필사본. 편자와 연기는 미상이나 글쓴 사람들로 추정해보아 철종·고종 연간으로 보인다. 내용은 정원용(鄭元容)의 「정본당중건기 政本堂重建記」, 조두순(趙斗淳)의
관곡서원 / 館谷書院 [교육/교육]
전라북도 임실군 지사면 관기리에 있는 서원. 1820년(순조 20)에 지방유림들이 최윤덕(崔潤德)·이형남(李亨南)·이적(李迪)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시고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였다.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68년(고종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