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근대 3,89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근대
  • 까치집 [문학/현대문학]

    이구조가 쓴 동화집. 1940년 예문사(藝文社)에서 발행되었다. 수록된 작품은 「꾀쟁이 토끼」·「과자벌레」·「조행 갑(操行 甲)」·「청개구리 나라」·「그림책」·「달님공주」·「새 새끼」·「집오리」 등 21편이고, 권말에 지은이의 후기가 실려 있다. 당시 아동문단을 풍미해

  • 깔깔웃음 [문학/구비문학]

    1916년 남궁설이 편집한 소담집(笑譚集). 원전에는 서명이 ‘○{{%312}}우슴’으로 표기되어 있다. 총 40면의 얄팍한 딱지본이다. 초판이 1916년 2월 8일에 간행되었으며, 제8판은 1926년 12월 20일에 간행되었다. 표지에는 박문서관 발행으로 되어 있으나

  • 깡통차기 [생활/민속]

    찌그러뜨린 빈 깡통을 발로 차며 즐기는 남자아이들 놀이. 첫째, 아이들끼리 가위바위보로 술래를 정한 뒤에, 술래가 깡통을 차서 다른 아이를 맞히는 방법이다. 이 때 술래가 차는 깡통을 피해다닐 수 있는 거리를 미리 정해두지만, 잘못하여 그 깡통에 맞은 아이는 술래가 된

  • 나도향 / 羅稻香 [문학]

    1902년∼1927년. 소설가. 1917년 배재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였다. 1922년 현진건·홍사용·이상화·박종화·박영희 등과 함께《백조》동인으로 참여하여 창간호에〈젊은이의 시절〉을 발표하면서 작가생활을 시작하였다. 같은해에 〈별을 안거든 우지나 말걸〉〈환희〉를《동아일보

  • 나석주 / 羅錫疇 [정치·법제/정치]

    항일기의 독립운동가(1892∼1926). 3·1운동 후 중국으로 망명, 의열단에 입단했다. 1926년 조선식산은행과 동양척식주식회사에 던진 폭탄이 불발로 실패하고 일본경찰의 추격을 받던 중 권총으로 자결하였다. 1962년 건국훈장대통령장이 추서되었다.

  • 나선동 / 羅鮮洞 [사회/촌락]

    1875년에 형성된 러시아의 대표적인 한인 마을. 나선동은 지금의 나고르나야 데레브냐(Nagornaia Derevnia)에서 북쪽으로 16km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하였다. 남쪽으로는함경북도 경흥(慶興)까지 20리이고, 서북쪽으로는함경북도 경원(慶源)과 100리 가량

  • 나암수록 / 羅巖隨錄 [역사/근대사]

    조선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학자 박주대가 조선 말기의 상황을 연차적으로 서술한 역사서. 야사집. 1책. 신활자본. 본래의 서명은 『수록(隨錄)』인데 저자의 호를 앞에 덧붙여 『나암수록』이라 하였다. 원래 불분권(不分卷) 4책으로 저자의 수고본 그대로 현손 박정

  • 나운규 / 羅雲奎 [예술·체육/영화]

    1902-1937년. 민족항일기의 선구적인 영화인. 호는 춘사(春史). 회령 출신. 한의(韓醫) 형권(亨權)의 6남매 중 셋째아들으로 태어났다.

  • 나인명부 / 內人名簿 [정치·법제]

    창덕궁내 대조전(大造殿)과 낙선재(樂善齋) 소속 나인들의 명부. 일부 인명의 상단에 주색 권점을 찍었다. 문서는 대조전숙직나인, 낙선재나인 등으로 구성되었다. 대조전숙직나인 명부에 따르면 지밀나인 4명과 유모 1명, 세수간나인 3명, 생과방나인 1명, 소주방나인 4명,

  • 나재집 / 懶齋集 [종교·철학/유학]

    채수의 문집. 목판본, 발:채기덕(1940)·채홍의(1940), 4권2책. 권두의 권1에는 저자의 일생 행적을 연대별로 상세하게 기록한 연보가 실려 있다. 본집 권1에는 독학부 1편과 시가 실려 있다. 권2에는 계 38편과 차 5편이 수록되어 있다. 권3에는 소 11편

페이지 / 390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