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사비성 / 泗沘城 [지리/인문지리]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에 있었던 삼국시대 백제의 성곽. 이 성은 부소산을 감싸고 있고 양쪽 머리가 낮게 둘러져 백마강을 향해 초승달의 형태를 보이고 있어 반월성(半月城)이라고도 했다. 조선시대의 기록에는 성터의 길이가 13,000여척이나 되며, 치소가 성 안에 있었다고

  • 사빈 / 沙濱 [지리/자연지리]

    파랑 등의 작용으로 바닷가에 모래가 쌓여 이루어진 해안지형. 일반적으로 해수욕장으로 이용된다. 사빈의 배후에는 일반적으로 해안사구(海岸砂丘)가 나타나는데, 사빈은 폭풍이 불 때 파랑이 흘러넘치는 곳까지를 가리키고 사구는 식생이 정착한 모래언덕을 가리킨다. 사구의 모래는

  • 사빈서원 / 泗濱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사의리에 있는 서원. 681년(숙종 7)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김진(金璡)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81년에 김극일(金克一)·김수일(金守一)·김명일(金明一)·김성일(金誠一)·김복일(金復一)을 추가 배향하여, 선현배

  • 사산리와요지 / 士山里瓦窯址 [예술·체육/공예]

    전라북도 부안군 주산면에 있는 고려시대 기와를 굽던 가마터.시도기념물. 현재 가마의 입구가 완전 파괴되어 있다. 그리고 내부는 흙으로 메워져 있어 확인할 수 없으며, 바닥에는 모래로 점토를 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가마의 폭은 185㎝이다. 이 요지 주변에는 산재하는 와

  • 사산참군 / 四山參軍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한성 주위의 산을 분장하여 성첩(성과 성위에 쌓은 작은 담)·수목 등을 보호하는 군직. 사산참군은 새로 무과에 급제한 사람 중에서 선전관이 후보로 추천한 사람을 임명하여 동·서·남·북 각 1인으로 도성 내외산과 도로 연변에 있는 송림의 보호·육성과 성첩의 보

  • 사상계 / 思想界 [언론·출판]

    1953년 4월 장준하 주재로 창간된 월간 종합교양지. 1952년 9월 부산에서 창간된 <사상>(국민사상지도원 발행, 통권 4호)지를 인수한 것으로, 정치, 경제, 문화, 사회, 철학, 교양, 문학, 예술 등 다방면에 걸친 권위있는 글을 실어 1950년대부터 지식인,

  • 사상구 / 沙上區 [지리/인문지리]

    부산광역시 중서부에 위치한 구. 동쪽으로는 서구, 서쪽으로는 낙동강, 남쪽으로는 사하구, 북쪽으로는 북구에 접해 있다. 동경 128°54'∼129°00', 북위 35°6'∼35°12'에 위치하고 있으며, 면적은 36.09㎢, 인구는 23만 7711명(2015년 현재)이

  • 사상의학 / 四象醫學 [과학/의약학]

    사람들을 체질적 특성에 따라 태양·태음·소양·소음의 네 유형으로 나누고 그에 따라 병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우리나라 고유의 체질의학. 이제마(李濟馬)가 1894년(광무 31) ≪동의수세보원 東醫壽世保元≫에서 처음으로 창안, 발표하였다. 본래 사상이라는 어휘는 ≪주역≫에

  • 사상자 / 蛇床子 [과학/식물]

    산형과에 속하는 2년생 초본식물. 높이는 30∼70㎝이고 전체에 짧은 복모(伏毛)가 있다. 잎은 어긋나고 2회 우상으로 갈라진다. 길이는 5∼10㎝로서 끝이 뾰족하고 녹색이다. 꽃은 백색으로 6∼8월에 핀다. 열매는 난형으로 4∼10개 씩 달린다. 열매에는 약리작용이

  • 사서 / 司書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세자시강원의 정6품 관직. 정원은 1인이었다. 1392년(태조 1)에 세자관속으로 좌·우사경 각 1인을 두었고, 세종 때는 집현전의 관원들이 겸직하였다. 세조의 집현전 폐지로 사경은 실직이 되었으며, 예종은 경연관과의 혼동을 피하기 위하여 사경을 사서로 개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