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근대 3,89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근대
  • 김혁 / 金爀 [역사/근대사]

    1875∼1936. 독립운동가. 1897년 4월에 무관학교 졸업, 육군보병참위로 임관, 육군참령에 승진되었다. 1921년 1월 서일·홍범도·지청천·김좌진 등과 합세하여 만주의 10개 독립군단체가 통합하여 대한독립군단을 조직, 1927년 2월 항전하다 붙잡혀 이듬해 3

  • 김현준 / 金賢準 [사회/사회구조]

    해방 이후 『사회학개론』 등을 저술한 학자. 전라남도 영암 출생. 도쿄 유학시절 1919년의 2·8독립선언에 즈음하여 김도연(金度演)·김안식(金安植)·최원순(崔元淳)·정광호(鄭光好) 등과 회합하여 독립운동을 일으켜야 할 때임을 재일유학생사회에 주창하였다. 이윽고 거사자

  • 김형렬 / 金亨烈 [종교·철학/신종교]

    1862년(철종 13)∼1932년. 미륵불교의 창시자. 1894년(고종 31) 10월 강증산을 처음으로 만났다. 1915년 모악산 금강대에서 백일기도 후 신안이 열려 영서를 받았다고 하면서 교파를 형성하였다. 1918년 금산사 안에 미륵불교라는 교파를 세웠다. 192

  • 김홍륙독다사건 / 金鴻陸毒茶事件 [역사/근대사]

    1898년에 김홍륙이 고종을 시해할 목적으로 공홍식을 교사해 고종과 태자가 마시는 커피에 독약을 투입한 사건. 고종의 생일인 9월 12일(음력 7월 25일) 만수성절에 고종과 태자가 마시는 커피에 아편을 넣은 사건으로, 고종은 냄새가 이상하여 마시지 않았고, 태자는 마

  • 김화현읍지 / 金化縣邑誌 [지리/인문지리]

    강원도 김화현(현 김화군)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1899년에 편찬한 지방지. 1책. 내용 구성은 일반 읍지들의 항목구성과 차이가 없으나, 호구(戶口)·군액(軍額)·전안(田案)·진공(進貢)·부전(賦田)·조적(糶糴)·관우(館宇)·학교·총묘(塚墓)·봉수·인

  • 김훈 / 金勳 [종교·철학/유학]

    1901∼1938.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1919년 평안남도 평양에서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한 후 만주로 망명하여 중국 길림성 신흥무관학교에서 군사훈련을 배웠다. 김성·김좌진·나중소·박성태·박영희·서일·윤창현·이범석·이장녕·이홍래·정신·조성환·현천묵 등이 조직한 북로

  • 김휘준 / 金輝濬 [종교·철학/유학]

    1820(순조 20) - 1898(광무 2) 고조는 장사랑 복, 증조는 응련, 조부는 영진, 부친은 낙숭이다. 1820년(순조 20) 11월 1일 영천 성동의 집경루에서 태어났는데, 집경루는 증조부 응련이 편거한 곳이다. 7세가 되자 당부 낙규에게 수학했다. 교유한

  • 김휘철 / 金輝轍 [종교·철학/유학]

    1842년(헌종 8)∼1903년(광무 7). 부친은 낙광, 모친은 정재석의 딸이다. 매창 사신의 후손이다. 1862년에 관복재 김기헌이 주도하여 가르치고 있던 사계서원에 나아가 독서를 하였다.1868년 부친상을 당하였고 1876년 봄에 향시에서 장원으로 뽑혔으나 서울에

  • 김희백 / 金熙伯 [역사/근대사]

    1899∼1937.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 일명 김희백(金熙百), 평안남도 대동 출신이다. 독립운동을 위하여 만주로 망명하여 북간도의 대한국민회에 가담하였다. 대한독립군에서 군자금 모집을 위하여 활약하였고, 봉오동전투(鳳梧洞戰鬪) 이후 독립군에 대한 일본의 대규모 군

  • 김희상 / 金熙祥 [언어/언어/문자]

    생몰년 미상. 초창기 국어학자. 생몰연대를 알 수 없으나, 초창기 국어문법 개설서를 집필한 국어학자이다. 1909년 경성 유일서관에서 학부검정을 받은 사립학교 국어과 초등교육학도용 문법교과서인 『초등국어어전』을 발행하였다. 이 책은 상·중·하 3권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

페이지 / 390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