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사도시 / 司䆃寺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궁중의 미곡과 장 등의 물건을 관장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던 관서. 1392년(태조 1) 7월에 요물고를 설치하였다. 1401년(태종 1) 7월에 공정고(供正庫)로 개칭, 1422년(세종 4) 9월에 다시 도관서(䆃官署), 1460년(세조 6) 5월 도관서 혁파
사도진 / 蛇渡鎭 [지리/자연지리]
전라도 흥양현(興陽縣)에 있던 수군의 거진. 『신증동국여지승람』 권 40 흥양현(興陽縣) 관방조(關防條)에 “蛇渡鎭 在縣東四十三里 有左道水軍僉節制使營 所管 會寧浦 達梁 呂島 馬島 鹿島 鉢浦 突山浦”라 하였다.
사도하자전투 / 四道河子戰鬪 [역사/근대사]
1933년 4월 한·중연합군이 일·만연합군을 격파한 전투. 1933년 4월 연합군의 군세가 증강되어 일본군과 만주군의 연합 부대는 사도하자를 공격하였다. 이때 한·중연합군은 이 기회에 일·만군을 섬멸할 계획을 세우고 전군을 4개 부대로 편성하였다. 제1로군은 소수 정예
사돈 / 査頓 [사회/가족]
남녀 두 사람의 혼인으로 발생하는 인척관계 또는 이런 관계에 있는 사람들끼리 상대편의 친척을 일컫는 호칭. 이 용어는 친족원 중의 한 사람의 혼인으로 나와 인척관계에 들어온 사람을 지칭하거나 그런 관계를 말하는 것이지만, 간단히 말할 때에는 혼인한 두 집의 어버이끼리
사동화 / 斯同火 [지리/인문지리]
경상북도 칠곡지역의 옛 지명. 뒤에 수동(壽同)으로 고치어 성산군(星山郡)의 영현으로 삼았다가 경덕왕 때 인동(仁同)으로 고치었다. 사동화의 지명 유래는 부족장(部族長)이 있었던 대읍(大邑)에서 나왔다. 지금의 가산면·석정면 지역으로 추정된다.
사또놀이 [문학/구비문학]
황해도 지역의 만수대탁(택)굿과 대동굿에서 연희되는 무당굿놀이. 늙은 신과 젊은 신의 교체 의례가 극화되어 있다. 만수대탁굿은 단골과 제자를 많이 둔 큰무당이 평생에 세 번밖에 할 수 없는 굿이다. 「사또놀이」는 만수대탁굿의 가장 중요한 거리로서 ‘헌 만신 나가고 새
사라오름 / 사라오름 [지리/자연지리]
제주 서귀포시 남원읍 신례리(한라산)에 위치한 명승. 사라오름은 한라산 정상에서 동북쪽으로 뻗어 내린 사면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성판악 등산로로 접근이 가능하다. 오름의 정상부는 분화구를 형성하고 있으며, 분화구 내에는 둘레 약 250m 크기의 호수에 물이 고여 습원을
사랑방손님과어머니 [예술·체육/영화]
신상옥(申相玉) 감독의 영화. 신상옥(申相玉) 감독의 영화. 1961년 공개된 신상옥의 대표작인 이 영화는 <열녀문 烈女門>(1962)·<벙어리 삼룡>(1964)과 더불어 한국의 전통적인 여인상을 아름답게 그리면서 그 속에 담겨진 한국의 보수적인 윤리를 비판적으로 되새
사령문 / 四靈文 [예술·체육/공예]
용·기린·봉황·거북의 넷을 함께 나타낸 장식무늬. 이들은 성인(聖人)이 출현하거나 어떤 길조가 있을 때 나타난다는 사령수(四靈獸)로, 불교에서는 사천왕(四天王)의 한 종류로 되어 있다. 기린은 살아 있는 풀을 밟지 않고 생물을 먹지 않는 어진 짐승으로 사슴의 몸, 소의
사례 / 四禮 [사회/가족]
유교적 원리에 바탕을 둔 관례·혼례·상례·제례 등의 네 가지 의례. 관혼상제(冠婚喪祭) 또는 가례(家禮)라고도 한다. 이와 같은 의례를 인류학이나 민속학에서는 통과의례(通過儀禮) 또는 통과제의(通過祭儀)라고도 한다. 내용을 더욱 한정시켜 평생의례(平生儀禮)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