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빈소선생전 / 嚬笑先生傳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이익(李瀷)이 지은 전(傳). 『성호선생문집(星湖先生文集)』 68권에 실려 있다. 「빈소선생전」은 이익의 「동방일사전(東方一士傳)」과 같이 높은 재주와 고상한 뜻을 가진 선비로서 초야에 묻혀 드러나지 않은 이가 많음을 슬퍼하는 내용이다. 이 작품은 비록 짧

  • 빈전 / 殯殿 [정치·법제]

    국장에서 발인 때까지 왕과 왕비의 재궁을 모시고 혼백을 안치한 전각. 빈전은 서쪽편에 재궁을 안치할 찬궁을 조성하고 그 옆에 명정을 세웠다. 동쪽 편에는 영좌를 설치하여 혼백을 모셨다. 그리고 영좌의 동쪽에 영침을 설치하였다. 영좌와 영침의 상부에는 붉은 비단의 장막

  • 빈전고유전 / 殯殿告由奠 [정치·법제]

    빈전에서 특별한 사건이나 행사가 있을 때 돌아가신 왕 또는 왕비의 혼령에게 아뢰는 의식. 빈전에는 재궁을 넣어 둔 찬궁과 혼백을 모신 영좌, 그리고 영침 등이 있으며, 상식, 전, 진향, 가칠, 상시 등의 의식이 이곳에서 거행된다. 그리고 상시나 계빈과 같은 중요한

  • 빈전해사제 / 殯殿解謝祭 [정치·법제]

    국장에서 발인에 앞서 빈전에서 지내는 제사. 해사제는 <국조오례의>를 비롯한 전례서에 보이지 않는 의식이다. 전례서와 달리 국장 관련 의궤나 등록에 의하면 발인하는 날 대여가 출발하기 전에 빈전해사제, 교량제, 오십신위제 등을 거행하였다. 이러한 제사의 대상이나 의주

  • 빈조현 / 嬪朝見 [정치·법제]

    국혼에서 혼례를 마친 세자빈이 국왕과 왕비 등 시댁의 어른에게 인사하는 의식. 국혼의 절차는 크게 본의식인 육례와 육례후의 식후 의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육례는 납채, 납징, 고기, 책비(책빈), 친영, 동뢰 등을 가리킨다. 동뢰연을 마치면 신부가 시댁의 어른에게

  • 빌레못동굴유적 / ─洞窟遺蹟 [역사/선사시대사]

    제주도 북제주군 애월읍 어음리(於音里)에 있는 구석기시대 동굴 유적. 발굴에서 수집된 석기는 모두 현무암제이다. 대형석기인 찍개 3개, 박편도끼 4개, 격지석기〔剝片石器〕인 긁개 26개, 칼 12개, 첨기 2개, 송곳 1개, 부리형석기 1개, 홈날석기 2개, 톱니날석기

  • 빗살무늬토기 / ─土器 [역사/선사시대사]

    그릇 표면을 빗살같이 길게 이어진 무늬새기개로 누르거나 그어서 점·금·동그라미 등의 기하학무늬를 나타낸 신석기시대의 대표적인 토기. ‘즐목문토기(櫛目文土器)’라고도 한다. 또한 겉면에 무늬를 새기고 있기 때문에 ‘유문토기(有文土器)’라고도 하며, 무늬 모양의 특징을 따

  • 빙계서원 / 氷溪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의성군 춘산면 빙계리에 있었던 서원. 1556년(명종 11)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김안국(金安國)·이언적(李彦迪)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576년(선조 9)에 ‘장천(長川)’이라고 사액되었다가, 1600년(선조 33) 이건(移建

  • 빙고전 / 氷庫田 [경제·산업/경제]

    조선시대 빙고의 빙부를 위하여 설정한 토지. 왕실과 양반관료들에게 얼음을 공급하는 공역을 맡은 빙부는 동빙고·서빙고에 정속된 직역부담자이며, 그 총수는 50인이다. ≪경국대전≫ 당시에 빙부 1인당 자경무세지 1결(結)씩을 관유지로 지급하였다. 그런데 조선 후기에는 수

  • 빙기 / 氷期 [지리/자연지리]

    기후가 더욱 한랭하여 빙하가 크게 확장되었던 시기. 알프스 산지와 5대호 지방의 연구에 의해서 빙기가 네 번 출현한 것으로 밝혀졌으며, 유럽에서는 오래된 것부터 귄츠, 민델, 리스, 뷔름 빙기가 있었고, 북아메리카에서는 네브라스카, 켄자스, 일리노이, 위스콘신 빙기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