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종교·철학 총 4,27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종교·철학
김석진 / 金奭鎭 [종교·철학/유학]
1843년(헌종9)∼1910년. 조선 후기의 문신·항일우국지사. 김상헌(金尙憲)의 후손이다.1860년 정시 문과에 급제하여, 궁내부특진관·비서원경·장례원경·귀족원경 등의 여러 벼슬을 역임하였다.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매국역도들을 주살하라는 상소를 올렸으며, 1910년 일
김석창 / 金錫昌 [종교·철학/개신교]
항일기의 독립운동가·목사(1876-1950). 1920년 미국의원단에게 진정서를 제출하고 선천경찰서를 폭발하려 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체포되었다. 이후 평안북도 예수교장로회 총회장·선천군 인민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하였고, 유엔군 후퇴이후 공산당에 의해 총살당하
김석필 / 金錫弼 [종교·철학/유학]
생졸년 미상. 조선 전기 문신. 증조부는 김당, 조부는 김회윤, 부친은 김중손이다. 연산군 8년(1502) 임술 별시에 3등 7위로 급제하였다. 벼슬은 예문관검열, 대교, 이조정랑 겸 수찬관을 역임하였다. 중종반정에 참여하여 원종공신 1등으로 녹훈되었고 이어서 홍문관교
김선 / 金瑄 [종교·철학/유학]
1599년(선조 32)∼1614년(광해군 6). 조선 중기의 문신. 증조는 김안도, 조는 김오, 부친은 김제남이다. 모친은 광주노씨 광산부부인으로 노계의 딸이다. 김선은 선조의 처남이다. 백헌 이경석과 과거 공부를 같이 하였는데, 김선의 문예를 따를 수 없다고 항상 칭
김성구 / 金聲久 [종교·철학/유학]
1641(인조 19)∼1707(숙종 33). 조선 후기의 문신. 김득가의 증손, 할아버지는 김율, 아버지는 용양위부호군 김추길, 어머니는 유화의 딸이다. 1662년(현종 3) 사마시를 거쳐 1669년 식년문과에 갑과로 급제, 전적·무안현감·직강·지평·수찬·정언 등을 지
김성원 / 金聲遠 [종교·철학/유학]
?∼1592(선조 25). 조선 중기의 학자. 증조부는 형조판서 김정이다. 조헌의 문인이다. 어려서부터 독실한 행실이 있었고, 크고 작은 일에 관계없이 반드시 조헌에게 물어 그의 남다른 사랑을 받았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 조헌이 의병을 일으키자 그를 따라 금산
김성은 / 金聖恩 [종교·철학/개신교]
1881-1961.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기독교인. 본적은 전라북도 군산부(群山府)이다. 1919년 3월 독립만세운동이 전국적으로 확산되자 김병수(金炳洙)·김수영(金洙榮)·박연세(朴淵世)·양기준(梁基俊)·양성도(楊成道)·유한종(劉漢鍾)·유희순(兪熙淳)·이두열(李斗悅
김성일 / 金誠一 [종교·철학/유학]
1538-1593. 조선 선조때의 성리학자. 아버지는 김진이며, 어머니는 여흥 민씨이다. 이황의 문인이다. 1568년 과거급제하였다. 1590년 통신부사로 일본에 건너가 실정을 살피고 침략이 없을 것이라 보고 하였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처벌이 논의되었으나 유성룡의
김성탁 / 金聖鐸 [종교·철학/유학]
1684(숙종 10)∼1747(영조 23).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할아버지는 생원 김방렬, 아버지는 김태중, 어머니는 김여만의 딸이다. 1735년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 사헌부지평, 사간원정언·홍문관수찬 등을 역임하였다. 1737년이현일의 신원소를 올렸다가 왕의
김성호 / 金性豪 [종교·철학/유학]
1659년(효종 10)∼1720년(숙종 46). 조부는 공조정 김민교이다. 부친 승지 김재현과 모친 청송심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부인은 첨정 한지원의 딸이다. 학문에 뜻을 두어 갖가지 성리학에 관한 책들을 탐독하였다. 학덕으로 인해 참봉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