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개념용어 총 1,896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개념용어
게송 / 揭頌 [문학/한문학]
불교적 시의 한 형식. 게는 범어(梵語)인 가타(Gatha) 또는 기야(Geya)의 음역(音譯)인 가타(伽陀)·게타(偈陀) 또 는 기야(祇夜)를 약칭하여 게(偈)라 하였다. 한시(漢詩)의 송(頌)의 일종이기 때문에 합하여 게송이라 하게 되었다. 게송은 범어와 한자어가
겨울 [지리/자연지리]
1년의 4계절 중 네 번째인 가을과 봄 사이의 계절. 기상학적으로는 보통 12월에서 2월까지를 말하나 기온이나 강수량 등 여러 기후요소의 변화를 기초로 보면 겨울의 시작과 끝, 겨울의 길이 등은 장소에 따라, 해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절기상 겨울의 시작은 입동(立
격 / 格 [언어/언어/문자]
체언 또는 체언상당어가 그것이 이루는 통사적인 구성에 참여하는 다른 성분에 대하여 가지는 문법적인 관계. 국어의 격은 인구어적인 격과는 다른 특이성을 가진다. 첫 번째는 격 관계가 어형변화에 의하여 표시되는 것이 아니라, 격조사라는 품사적인 자격을 가지는 형태나 형식에
격언 / 格言 [문학/구비문학]
도리에 지극히 합당하여 삶의 지표로 삼을 만한 내용을 간결한 표현으로 나타낸, 민간에 널리 알려진 어휘 혹은 문장. 격언은 관용어의 한 종류로, 관용어에는 격언 외에도 속담, 금기어(禁忌語), 단순한 비유, 은어 등이 포함된다. 격언과 속담은 말해진 내용 이상의 포괄적
견마꾼 / 牽馬─ [사회/사회구조]
사람이 탄 말이나 당나귀를 끄는 마부. 조선시대의 사복시(司僕寺)에 소속되어 왕·세자·군의 경마를 잡던 견마배(牽馬陪)에서 유래되었다. 견마배는 중종 때에 잡직 종7품을 받았다. 견마는 원칙적으로 문무관에게만 허용되었으나, 민간에서도 성행하여 조선 말기까지도 양반이 출
견정산 / 牽正散 [과학/의약학]
풍(風)과 담(痰)을 제거하는 데 사용하는 처방. 중풍으로 인한 안면신경마비증세에 사용한다. 일반 방 중에 후세방에 속하는 처방이고, 사상처방으로 볼 때에는 소음인에 적합하다. 백부자(白附子)·백강잠(白疆蠶)·전갈(全蝎)을 같은 분량으로 하여 가루로 만들어, 1회에 4
견종법 / 畎種法 [경제·산업/산업]
밭작물을 파종할 때 토양의 지형조건을 기준으로 하는 방법. 이랑과 이랑 사이의 골에 파종하는 방법이다. 이랑 위에 파종하는 농종법(壟種法)이나 이랑이나 골 없이 땅을 평평하게 고른 다음 흩어 뿌림하는 만종법(縵種法)과 구별된다. 우리 나라의 파종양식은 농종법으로 관행되
결핵 / 結核 [과학/의약학]
결핵균에 의해 발생되는 전염병. 과거에는 사람에 걸리는 인형결핵(人型結核) 이외에 소에 걸리는 우형결핵(牛型結核)이 전파되기도 했다. 인형결핵균이 사람 몸에 침입하면 미열과 전신증상을 일으키나 주로 폐(肺)에 침입하여 폐결핵을 일으킨다. 우리나라에서 폐결핵은 제3종법정
겹사돈 [사회/가족]
겹혼인을 하여 맺어진 사돈. 전통사회에서는 중매를 통해 혼인을 했기 때문에 혼인 당사자보다는 중매인의 의견이 중요하였고, 또한 혼인이 신랑·신부 두 사람의 결합 뿐만 아니라 두 가정 내지 두 친족집단의 결합이어서 집안어른의 의사가 중요하였다. 겹사돈에는 두 집안이 딸을
경공업 / 輕工業 [경제·산업/산업]
제조업을 제조되는 생산물의 중량에 따라 두 가지로 나눌 경우, 주로 섬유·잡화·식품업 등을 통틀어 일컫는 말. 경공업은 중화학공업(중공업)과 함께 제조업을 구성하고 있다. 제조업의 일반적인 분류 기준은 제조되는 생산물의 중량에 따른 구분으로, 제품의 용적에 비하여 상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