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비천문 / 飛天文 [예술·체육/공예]

    하늘에 떠 있다는 선인(仙人)을 나타낸 장식무늬. 상상에 의한 것이므로 나라와 민족마다 그 형상과 상징이 다른데, 서양에서는 새날개[鳥翼]를 단 아이로 나타내어 천사(天使, eros, cupid, angel)라 부른다.서기전 3000년경의 메소포타미아 인장(印章)과 서

  • 비천집 / 飛泉集 [생활]

    별집류(別集類). 명석정에 소장되어 있는 책이다. 책수는 5책이며, 판종은 석인본(石印本)이다. 규격은 29.2×18.8cm이고, 반곽은 19.4×15.2cm이다. 표제와 판심제는 비천집(飛泉集)이다. 전기진(田璣鎭)이 지은 것으로, 서문(序文)은 辛亥(1971)에 이

  • 비총법 / 比總法 [경제·산업/경제]

    조선 후기 숙종 연간부터 1894년(고종 31) 갑오경장 때까지 시행된 부세 부과의 방식. 세수 총액을 미리 정해놓고 각 지방에 할당하는 세법으로 국가의 총세원을 확보하려는 의도에서 실시하였다. 비총법은 전세·대동·삼수미 등 전결세를 비롯, 노비의 신공·어세·염세·선

  • 비테 / Cepreй Юриеич Витте [정치·법제/외교]

    1849-1915. 러시아 재무대신. 만주와 조선에 러시아의 경제적 침투를 기도함. 1870년 국립오데사철도기구에 입학. 이후 1877년 오데사철도 개발 책임자가 되었다. 1889년 재무부 산하 철도국 책임자로 중앙부서에 진출하였다. 1892년 2월 교통부대신에, 8월

  • 비토도 / 飛兎島 [지리/자연지리]

    경상남도 사천시 서포면 비토리에 있는 섬. 2010년 기준으로 인구는 351명(남 172명, 여 179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세대수는 160세대이다. 취락의 분포는 섬의 중앙분지와 남서쪽 및 동쪽 해안에 집중되어 있다. 주민들의 반 이상이 농업에 치중하며, 나머지는

  • 비파나무 / 枇杷─ [과학/식물]

    장미과에 속하는 상록소교목. 높이가 5m 내외로 자라는 나무로 어린 가지는 굵으며 연한 갈색 밀모(密毛)로 덮여 있다. 잎은 어긋나고 타원상 긴 난형이며 길이 15∼25㎝, 너비 3∼5㎝로서 표면에 털이 없으며 윤채가 있고 뒷면에 연한 갈색 밀모가 덮여 있다. 가장자리

  • 비파형동검 / 琵琶形銅劍 [역사/선사시대사]

    청동기시대의 무기 혹은 제기(祭器). 검신의 형태가 비파와 비슷해 붙여진 이름이다. 중국 동북지방에 있는 요하(遼河)를 중심으로 한 요령지방(遼寧地方)에 주로 분포하기 때문에 ‘요령식 동검’이라고도 하며, 광복 전에는 ‘만주식 동검’으로 불렸다. 학자에 따라서는 부여

  • 비해당소상팔경시첩 / 匪懈堂瀟湘八景詩帖 [문학/한문학]

    1442년(세종 24)에 안평대군(安平大君)이 문인들의 시문을 모아서 엮은 시첩. 시의 체재는 오언고시, 오언배율, 오언절구, 칠언고시, 칠언율시, 칠언절구, 육언절구 등 다양하다. 권수(卷首)의 이인로와 진화의 시는 팔경을 산시청람(山市晴嵐), 연사모종(烟寺暮鍾),

  • 비형랑주사 / 鼻荊郞呪辭 [문학/고전시가]

    신라 진지왕의 아들 비형랑(鼻荊郞)에 관한 주사(呪辭). 「비형랑주사」는 지금까지 단순히 귀신 이야기 정도로 이해되어 왔다. 하지만 비형랑은 왕의 사령이 낳은 아들로 귀신을 부릴 줄 알 뿐만 아니라 길달 같은 귀신을 잡아 죽이는 영력을 소유한 인물이다. 이러한 점으로

  • 비홍치 / 飛鴻峙 [지리/자연지리]

    전라북도 남원시 주생면과 대강면 사이에 있는 고개. 높이 260m. 이 고개는 남원시 대산면과 순창군 동계면, 그리고 주생면과 대강면의 경계를 이루는 노적봉(露積峰)·풍악산(楓岳山)·응봉(鷹峰)·문덕봉(文德峰)을 연결하는 평균높이 400m 내지 500m의 분수령을 통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