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비인 / 庇仁 [지리/자연지리]

    지명. 조선시대 충청도에 있던 현으로 오늘날의 서천군(舒川郡) 비인면(庇仁面)이다. 1413년(태종 13)에 현감(縣監)을 파견한 바 있으며. <경국대전> 병전 유방조에는 2여(旅)가 배치된 것으로 나타난다.

  • 비인만 / 庇仁灣 [지리/자연지리]

    충청남도 서천군 서면 남쪽 비인에서 황해안으로 돌출한 반도의 남부에 있는 만. 비인만내 도둔리·신합리·월호리 등지에는 사구와 간석지가 넓게 형성되어 있다. 해안선 길이는 72.5㎞이고, 만내에는 띄섬·할미섬 등이 있으나 남쪽으로 확 트인 해안이라는 특징 때문에 만이라기

  • 비인해수욕장 / 庇仁海水浴場 [지리/인문지리]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선도리에 있는 해수욕장. 서천의 서부지역에 위치해 있으며, 비인면 소재지에서 2㎞ 지점에 위치해 있다. 비인 해수욕장까지 포장도로가 완공되어 교통이 용이해졌다. 서해안 고속도로와 서천∼공주 간 고속도로, 당진∼대전 간 고속도로의 개통으로 수도권과

  • 비인향교 / 庇仁鄕校 [교육/교육]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성내리에 있는 향교. 1398년(태조 7)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그 뒤의 기록은 남아 있지 않으며, 현재 대성전을 비롯하여 3동의 목조기와집이 있다. 대성전에는 5성(五聖), 송조4현(

  • 비인현읍지 / 庇仁縣邑誌 [지리/인문지리]

    충청남도 비인군(현 서천군 비인면)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1901년에 편찬한 지방지. 1책. 필사본. 국사편찬위원회에 소장되어 있다. 내용 구성은 진관(鎭管)·건치연혁(建置沿革)·성지(城池)·관원(官員)·관해(官廨)·관사(官舍)·창고(倉庫)·단묘(壇廟

  • 비자나무 / 榧子─ [과학/식물]

    주목과에 속하는 상록침엽교목. 지름은 2m에 달하고 가지가 사방으로 퍼진다. 잎은 두 줄로 달리고 길이 25㎜, 너비 3㎜ 정도이며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뒷면은 갈색이지만 중륵과 가장자리는 녹색이다. 꽃은 2가화이고 4월에 피며 열매는 도란형 또는 타원형이며 길이 2

  • 비장 / 裨將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감사·절도사 등 지방장관이 데리고 다니던 관료. 조선 후기에는 의주·동래·강계·제주의 수령 및 방어사를 겸한 모든 수령들이 비장을 거느리는 것을 관례화하였다. 감사나 절도사 등은 수령에 대하여 연명(延命)의 예를 비장으로 하여금 대신하게 한다든가, 민정에 대

  • 비정규직 / 非正規職 [사회/사회구조]

    정규직이 아닌 모든 직종. 비정규직이란 일정한 기간의 노무급부를 목적으로 사용자와 근로자가 한시적으로 근로관계를 맺는 모든 비조직화 된 고용형태로 기간제근로, 단시간근로(파트타임), 파견근로 등이 해당된다. 비정규직 근로자(atypical, non-standard, c

  • 비진도 / 比珍島 [지리/자연지리]

    경상남도 통영시 한산면 비진리에 있는 섬. 2009년 기준으로 인구는 201명(남 101명, 여 100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세대수는 101세대이다. 취락은 북쪽 섬에서는 서북쪽의 선착장 주변과 남쪽 섬과 만나는 남사면, 남쪽 섬에서는 섬 북쪽의 해수욕장 근처에 분포

  • 비진해수욕장 / 比珍海水浴場 [지리/인문지리]

    경상남도 통영시 한산면 비진리 비진도(比珍島)에 있는 해수욕장. 비진해수욕장은 한산도 남쪽에 자리한 비진도의 안섬과 바깥섬을 연결해주며, 한려해상국립공원에 포함되는 해수욕장이다. 1975년 6월에 공설 해수욕장으로 개장하였다. 매년 7월 10일부터 8월 20일까지 개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