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비연시사 / 斐然詩社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 장지완(張之琬)이 중심이 된 문인들의 모임. . 맹주인 장지완·장효무(張孝懋)·임유(林瑜)·고진원(高晋遠)·유기(柳0x9583)·박사유(朴士有)·한백첨(韓伯瞻) 등 7인이 중심이 되었는데, 서원시사(西園詩社)보다 약간 후기에 결성된 듯하다. 그들은 스스로를

  • 비옥 / 比屋 [지리/인문지리]

    경상북도 의성 지역의 옛 지명. 신라의 아화옥현(阿火屋縣, 또는 井屋縣)이었는데 757년(경덕왕 16) 비옥으로 고쳐 문소군(聞韶郡)의 영현(領縣)으로 하였다. 1018년(현종 9)상주(尙州)에 예속시켰다가 1390년(공양왕 2) 안정현(安貞縣)의 지배를 받았다. 14

  • 비와집 / 卑窩集 [종교·철학/유학]

    정중대의 문집. 4권 2책. 석인본. 1931. <비와집> 권두에 노상직이 1926년에 쓴 서문과 이중균이 1931년에 쓴 서문이 있다. 권1에는 시 97수와 연설 1편이 실려져 있고, 권2에 서 23편‧기 1편‧잡저 1편이 수록되어 있다. 권3에 제문 19편‧묘갈 1

  • 비용사 / 備用司 [경제·산업/경제]

    고려시대 왕궁의 미곡을 맡아보던 관서. 관원으로는 사(종5품)·부사(종6품)·주부(종8품)가 있었는데 정원은 알 수 없다. 1310년(충선왕 2) 8월에 요물고(料物庫)로 고쳤다.

  • 비원 / 秘苑 [역사/근대사]

    1902년에 창덕궁 후원을 관리하던 관서. 관원은 감독 2인, 검무관 3인, 감동 1인, 주사 4인으로 구성되었다. 1903년에 감독을 폐지하고 장, 부장 1인씩을 두었다. 비원(秘苑)이란 명칭은 일제시대에 붙여졌다. 조선시대엔 궁궐 북쪽에 있다 해서 '북원(北苑)'

  • 비유담 [문학/구비문학]

    도덕적 교훈을 담은 짧은 이야기. 우화와 함께 풍유(諷諭)설화의 일종이다. 도덕적 문학유형이라는 점에서 우화와 비유담은 공통되는데, 이들을 엄격히 구별하기는 매우 어렵다. 그러나 굳이 양자를 구별짓자면 우화가 의인화된 생물·사물의 이야기인 데 비해, 비유담은 인간의 이

  • 비유법 / 比喩法 [언어/언어/문자]

    표현하고자 하는 대상을 다른 대상에 비유하여 표현하는 수사법. 유추(類推, analogy)를 기본으로 삼아 이해하려고 하는 미지의 언어를 이미 알고 있는 언어로 이동시키거나 변화시키는 표현기법이다. 이 때 표현하고자 하는 대상이나 사상을 원관념(tenor)이라 하고,

  • 비융사 / 備戎司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연산군 때 철갑주를 제작, 생산하기 위해 설치하였던 특별관서. 철갑주를 제작, 생산하기 위해 설치되었다. 1500년(연산군 6) 영의정 한치형의 건의로 창설되었다가 1504년(연산군 10)에 혁파되었다. 여기에는 도제조 1인, 제조 1인, 별좌 4인을 두어 철갑

  • 비음 / 鼻音 [언어/언어/문자]

    조음방식에 따라 분류한 언어음의 일종으로, 연구개(軟口蓋)를 낮춤으로써 공기가 코로 나가게 하면서 내는 언어음. 국어의 대표적인 비음은 ‘ㅁ, ㄴ, ㆁ’이다. ‘ㅁ’은 양순음이고 ‘ㄴ’은 치경음이며 ‘ㆁ’은 연구개음이다. 이들 비음에 인접한 모음도 비음의 영향을 받아

  • 비음기 / 碑陰記 [문학/고전산문]

    조선 태종(太宗) 헌릉(獻陵) 신도비(神道碑)의 음기(陰記). 개국(開國), 정사(定社), 좌명(佐命) 공신의 성명이 차례대로 새겨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