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비순위 / 備巡衛 [정치·법제/국방]

    고려시대의 군대명. 금오위는 도성의 경찰의 임무를 맡았다. 금오위의 명칭이 처음 비순위로 바뀐 시기는 충선왕 때이다. 그 뒤 1356년(공민왕 5)에 금오위로 복칭되었다가 1362년에 비순위로, 1369년에는 다시 금오위, 그리고 그뒤 비순위로 개칭되어 조선시대로 넘

  • 비술나무 / Dwarf Elm|Siberian Elm [과학/식물]

    느릅나무과 느릅나무속에 속하는 낙엽 활엽 교목. 비술나무는 느릅나무과의 큰키나무이다.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중국, 몽골, 극동러시아 지역에 분포한다. 주로 중부 이북의 평지 및 하천 주변에 분포하지만 지리산, 백양산 등 남부지역에도 드물게 자란다. 3∼4월에 잎이 나기

  • 비슬산 / 琵瑟山 [지리/자연지리]

    경상북도 청도군 각북면과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옥포면·유가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는 1,083.4m이며, 최고봉은 천왕봉(天王峰)이고 그 다음이 대견봉(大見峰)이다. 비슬산괴(琵瑟山塊)는 대구분지 남부산지의 주체이며, 비슬산은 이 산괴의 주봉이다. 여기서 북북서

  • 비신장군 / 備身將軍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국왕의 행차시 의장행렬에 참여하던 무반직의 하나. ≪고려사≫ 여복지 의위조를 보면, 국왕이 사찰에 행차하는 경우의 법가의장에서는 천우비신장군·비신장군 각 4인이 자갑의를 입고, 장도를 차고, 기를 들고, 말을 타고 좌우에 섰으며, 연등회때 봉은사의 진전에 행

  • 비안 / 比安 [지리/인문지리]

    경상북도 의성 지역의 옛 지명. 본래 신라의 아화옥현(阿火屋縣, 또는 幷屋縣)이었는데, 757년(경덕왕 16) 비옥(比屋)이라 고쳐 상주(尙州) 소관의 문소군(聞韶郡)의 영현으로 하였다. 1018년(현종 9) 상주목의 임내로 하였으며, 1390년(공양왕 2) 안정현(安

  • 비안군읍지 / 比安郡邑誌 [지리/인문지리]

    경상북도 비안군(현 의성군 비안면)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1899년에 편찬한 지방지. 1책. 채색지도가 첨부된 필사본. 규장각 도서에 있다. 이밖에도 1786년(정조 10) 무렵 편찬된 『비안현읍지』 사본 1책이 규장각 도서에 있고, 1878년(고종

  • 비안도 / 飛雁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북도 군산시 옥도면 비안도리에 있는 섬. 고려 말부터 귀양지로 정착하였으나, 조선 중기부터는 어업을 생업으로 하는 집단촌락을 형성하였다. 본래 전라남도 지도군 고군산면 소속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전라북도 옥구군에 편입되었다. 1995년에 옥구군과 군산

  • 비안향교 / 比安鄕校 [교육/교육]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교촌리에 있는 향교. 조선시대 때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처음에는 당시 비안현(比安縣)에 있었는데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그 뒤 현재의 위치로 이건하였으며, 1898년·1924년·193

  • 비양도 / 飛楊島 [지리/자연지리]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림읍 비양리에 있는 섬. 2010년 기준으로 인구는 167명(남 82, 여 85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세대수는 70세대이다. 취락은 섬의 동남쪽 해안에 집중되어 있다. 토지이용 현황은 논은 없고 밭 0.07㎢, 임야 0.32㎢이다. 주요 농산물

  • 비연상초 / 斐然箱抄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의 학자 장지완(張之琬)의 시문집. 1857년(철종 8) 친구 이자전(李紫田)이 주관하고 현보여(玄報汝)가 자금을 대어 최성환(崔瑆煥)의 수교(讐校)를 거쳐 간행하였다. 3권 1책. 목활자본. 권두에 최성환의 서문이 있다. 권1에 시 84수, 권2에 부 2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