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비답 / 批答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신하의 상소에 대해 국왕이 내린 답서.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것은 정사에 대한 불윤비답으로서 ≪동국이상국집≫·≪동문선≫을 비롯, 여러 문집 등에 전재된 것이 많이 있다. 정사뿐 아니라 국왕에게 올린 소청에 대한 불윤비답도 있다. 그러나 의윤비답도 이따금 있

  • 비디오댄스 / 비디오댄스 [예술·체육/무용]

    텔레비전 화면과 비디오 영상의 두 요소를 표현매체로 사용하는 춤. 한국 최초의 비디오 댄스 시도는 현대무용가 이정희의 「살푸리 하나」(1980)였다. 이어 등장한 비디오 댄스의 완벽한 특성을 지닌 작품으로는 이정희의 「19860130」(1986) 그리고 이정희와 남편이

  • 비래봉 / 飛來峰 [지리/자연지리]

    평안북도 벽동군 성남면·송서면과 창성군 창성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1,479m. 이 산지는 동서방향으로 가로지르는 강남산맥의 주봉을 이루며, 또한 달각산(達覺山, 1,386m)·단풍덕산(丹楓德山, 1,159m)과 함께 강남산맥을 남북으로 가로지르는 산괴(山塊)를 형

  • 비룡폭포 / 飛龍瀑布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속초시 설악동에 있는 폭포. 비룡폭포는 설악산국립공원의 외설악지역(外雪嶽地域)을 배수하여 동해로 흘러드는 쌍천(雙川)의 지류가 화채봉(華彩峰)의 북쪽 기슭에 만들어놓은 폭포이다. 비룡폭포가 흐르는 하천의 상류 쪽에 토왕성폭포(土旺城瀑布), 하류 쪽에 육담폭포(六

  • 비류강 / 沸流江 [지리/자연지리]

    평안남도 맹산군 영봉(靈峰, 1,135m)과 양덕군 오강산(吳江山)에서 발원하여 평안남도 동부의 중앙을 서류하면서 대동강으로 흘러드는 강. 길이 151㎞. 두 줄기가 성천군 별창(別倉) 부근에서 합류하여 북서류하다가 신성천(新城川) 부근에서 기창후천(岐倉後川)과 합류하

  • 비류꼬프 / H. H. Бирюков [정치·법제/외교]

    1861-1916. 러시아 포병 장교. 아어학교 교사. 관립 아어학교는 1896년 2월 24일 수하동 도서서에 설립되어 3월부터 수업이 개시되었다. 1896년 5월 4일 법어학교와 같이 북부 박동 전 육영공원으로 교사를 이전하였다. 1907년 4월 비류꼬프를 총사령부

  • 비변사 / 備邊司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중·후기 의정부를 대신하여 국정 전반을 총괄한 실질적인 최고의 관청. 1555년 상설관아로 정제된 비변사는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을 계기로 기능이 확대 강화되었다. 이후 1864년(고종 1) 국가 기구의 재정비를 단행, 의정부와 비변사의 사무 한계를 규

  • 비봉서원 / 飛鳳書院 [교육/교육]

    황해도 연백군(현재의 황해남도 연안군) 연안읍 연성리에 있는 서원. 1596년(선조 29)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주자(朱子)·최충(崔冲)·김굉필(金宏弼)·이이(李珥)·성혼(成渾)·박세채(朴世采) 등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82년(숙종

  • 비봉폭포 / 飛鳳瀑布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고성군 외금강면(지금의 온정리)에 있는 폭포. 높이 139m, 너비 4m. 금강산의 옥류동 세존봉(世尊峰,1,132m)의 서쪽에 있으며, 폭포수가 길게 떨어지고 물방울이 날리며 떨어지는 모습이 마치 봉황새가 나는 것 같이 아름답다고하여 비봉폭포라 하며, 또 봉황

  • 비사성 / 卑沙城 [지리/인문지리]

    중국 요령성 요하(遼河)유역에 있었던 삼국시대 수양제와 당태종의 고구려 침입과 관련된 성곽. 수양제와 당태종의 고구려침입과 관계가 있는 성이다. 614년(영양왕 25) 수나라의 내호아(來護兒)가 요동만(遼東灣)에 상륙하여 비사성(또는 卑奢城ㆍ沙車城)에 이르자 아군이 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