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비각 / 碑閣 [예술·체육/건축]

    유적. 비각(碑閣)은 비석을 보호 또는 기념하기 위해 세운 건물을 말한다. 헌릉(獻陵) 비각은 2칸 4면으로, 다시 반칸을 보태었다. 정자각에서 동북쪽으로 10보쯤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서향(西向)이다.

  • 비각 / 祕閣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비서성의 문서와 서적을 보관하던 관서. 고려시대의 비각은 송제와는 달리 직관이 배속되지 않았으므로 ≪고려사≫ 백관지에 수록되어 있지 않고 세가에 관련기록이 산견된다. 따라서 설치연대는 미상이나 국초의 내서성이 995년(성종 14) 비서성으로 개칭된 사실과 1

  • 비견도 / 飛見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완도군 금당면 차우리에 있는 섬. 2009년 기준으로 인구는 76명(남 39명, 여 37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세대수는 38세대이다. 취락은 선착장이 있는 동쪽 해안 중앙부에 주로 분포한다. 토지이용 현황은 논은 없고 밭 1.17㎢, 임야 0.13㎢이다. 주

  • 비교법 / 比較法 [언어/언어/문자]

    수사법 중 강조법의 하나. 두 가지 이상의 사물의 크기, 성질, 모습, 내용 등의 정도를 견주어서 어느 한 사물을 선명히 표현하는 기법이다. “강낭콩꽃보다 더 푸른 물결”에서는 ‘물결’의 푸른 색채를 ‘강낭콩꽃’의 그것에 견주어서 선명하게 드러내고 있으며, “하늘이 높

  • 비금도 / 飛禽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신안군 비금면에 있는 섬. 삼한시대에 떠돌아다니던 유족이 당두마을에 최초로 들어와 정착하였다고 한다. 조선시대에 와서는 유배되어 온 벼슬아치들이 가족을 이끌고 와 정착하면서 많은 씨족이 분포하게 되었다. 2009년 기준으로 인구는 3,813명(남 1,902명,

  • 비녀 [생활/의생활]

    부녀자가 쪽을 진 머리가 풀어지지 않게 하기 위하여 꽂거나, 관(冠)이나 가체를 머리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꽂는 장식품. 이를 표현하는 한자어로 잠(簪)·계(筓)·차(釵)가 있다. ≪증보문헌비고≫에는 단군이 나라 사람들에게 머리털을 땋고 머리를 가리는 법을 가르쳤다고 한

  • 비누 / 飛陋 [생활]

    직물의 세탁에 쓰이는 곡물 가루. 대체로 면, 마직물의 세탁에는 잿물을 쓰고, 명주와 같은 귀중한 직물을 빨 때는 콩ㆍ팥ㆍ녹두 등을 갈아 빨래에 비벼서 썼는데, 이 가루가 비누이다. 의궤에는 비누의 주원료를 밝힌 두비루의 표기도 함께 보인다.

  • 비단섬 / 緋緞島 [지리/자연지리]

    평안북도 신도군(지금의 비단섬노동자구)의 압록강 어구에 있는 인공섬. 비단섬의 면적은 64.368㎢, 동서 길이는 5.76㎞, 남북 길이는 13.76㎞, 둘레는 49.07㎞, 높이는 89m이다. 비단섬은 주위에 있는 크고 작은 마안도(馬鞍島)·양도(洋島)·말도(末島)·

  • 비단섬코끼리바위 / 緋緞島象巖 [지리/자연지리]

    평안북도 용천군 신도면(지금의 신도군 비단섬노동자구)에 있는 바위. 길이 47m, 높이 15m, 코둘레 9m. 황해가 서서히 침강될 때 화강암의 잔구가 함몰하지 못하고 섬으로 되었으며, 그것이 오랜기간 풍화작용에 의하여 멀리서 보면 마치 코끼리처럼 보여 코끼리섬 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