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작품 > 문학 작품 총 1,953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작품 > 문학 작품
양기손전 / 楊己孫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필사본. 「양기손전」에는 대부분의 가정소설에서 볼 수 있는, 첩이 본처를 모해하여 남편이나 시부로 하여금 내쫓게 하거나, 본처의 자녀를 학대하고 축출하는 내용은 보이지 않는다. 이 작품에는 남편이 예쁜 첩에게 빠져 본처를 돌보지
양등시과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가사. 1권 1책. 필사본. 책의 내용은 제명 그대로 온갖 종류의 등불 및 제등행렬(提燈行列)의 아름다움을 가사체로 노래하였다. 책 끝에는 전각 위에 앉아서 장안의 등놀이를 관망하던 임금이 좌우의 제신(諸臣)에게 등시(燈詩)를 지으라고 명하여 한림학사
양문충의록 / 楊門忠義錄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43권 43책의 국문필사본으로 장서각 도서본이 유일본이다. 『양문충의록(楊門忠義錄)』과 관계가 있는 작품은 『현몽쌍룡기(現夢雙龍記)』·『조씨삼대록(曺氏三代錄)』이다. 『현몽쌍룡기(現夢雙龍記)』와 『조씨삼대록(曺氏三代錄)』은 연작 관계로 볼
양반전 / 兩班傳 [문학/고전시가]
조선 정조 때에 박지원(朴趾源)이 지은 한문 단편소설. 작자의 문집인 『연암집 燕巖集』「방경각외전 放璚閣外傳」에 실려 있다. 저작연대는 자세히 알 수 없다. 지은이의 초기 작품으로 추정된다. 「양반전」은 부농이 등장하여 경제력에 의한 양반신분획득의 가능성이 나타난다.
양사언설화 / 楊士彦說話 [문학/구비문학]
조선 전기 명필로 이름난 양사언에 관한 설화. 문헌자료집에 실려 있는 「양사언설화」는 양사언의 출생 과정을 이야기한 것으로서, 『계서야담』에 2편, 『청구야담(靑丘野談)』·『해동야서(海東野書)』·『동야휘집(東野彙輯)』·『기문총화(記聞叢話)』·『선언편(選諺篇)』에 각각
양산가 / 陽山歌 [문학/고전시가]
신라시대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노래. 가사는 전하지 않으며, 제작동기가 『삼국사기』 열전(列傳) 제7 김흠운조(金歆運條)에 전하며, 같은 내용이 축약되어 『증보문헌비고』 권106 악고(樂考) 17에 옮겨져 있다. 655년(태종무열왕 2) 낭당대감(郎幢大監) 김흠운이 백
양산백전 / 梁山柏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양산백전」은 산백과 양대가 혼사장애에 부딪혀 초현실적인 ‘죽음과 재생’을 통해 애정을 성취하는 결연담과, 산백의 영웅적 활약을 그린 영웅담을 결합시킨 소설이다. 이 작품은 다른 작품보다 초현실적이고 신비적인 요소를 두드러지게
양소저전 / 楊小姐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책. 국문필사본. 필사자는 윤승희, 필사연대는 정해(丁亥, 1887?)로 되어 있다. 이 작품은 양소저의 기구한 일생을 중심으로, 다양한 설화적 요소들을 삽입한 이야기이다. 전처의 자식들을 모해하는 계모, 남복으로 변장하여 도망하는 처녀
양신화답가 / 良辰和答歌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가사. 형식은 2율각(律刻) 1구로 헤아려 모두 83구이다. 음수율은 4·4조가 52구로 절대다수를 차지하고, 나머지는 3·4조가 28구이며, 2·4조, 3·3조, 4·3조가 각 1구씩으로 되어 있다. 좋은 계절을 맞이하여 김소저(金小姐)와 박주사(朴
양씨아미본풀이 / 梁氏─本─ [문학/구비문학]
제주도 무속의 조상본풀이의 하나. 서귀포시 남원읍 예촌(禮村: 지금의 신례리·하례리)의 양씨집안에 계승되는 수호신의 내력담이다. 이들 집안에서 굿을 할 때 심방(무당)에 의하여 불려진다. 현재 1편이 채록되어 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옛날 예촌 양좌수 집안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