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근대 총 3,89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근대
김재경 / 金在敬 [종교·철학/유학]
1841년(헌종 7) 12월 11일∼1926년 12월 10일. 조선 말기 유학자. 증조부는 김상구, 조부는 김진호, 아버지는 김치명. 외조부는 김만중, 처부는 김필균이다. 평생 덕성을 이루는 데 힘을 기울여 문장을 꾸미는 일을 좋아하지 않았다. 천문과 지리, 의술 등
김제군지 / 金堤郡誌 [지리/인문지리]
1918년 조찬성이 전라북도 김제군(현 김제시)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편찬한 지방지. 1책. 활자본.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이밖에도 조선 정조 연간에 편찬된 것으로 보이는 『김제군읍지(金堤郡邑誌)』가 규장각 도서에 있다. 내용 구성은 갑신구지서(甲申
김종구 / 金鍾九 [종교·철학/유학]
생몰년 미상.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 일제 지배 당시 금산면의 서기로 근무하였다. 1919년 3·1독립만세운동이 일어나자, 3월 22일 상옥리의 김용술, 임승환 등은 각 지방에서 일어나는 3·1독립운동과 호응하여 금산군에서도 일대 시위운동을 전개할 것에 합의, 금산
김좌진 / 金佐鎭 [정치·법제/국방]
항일기의 독립운동가(1889∼1930). 부유한 명문대가 출신으로 15세 때 집안 노비를 해방할 정도로 진취적 개화사상이 강하였다. 1920년 10월 20~23일 청산리 80리계곡에서 유인되어 들어온 일본군을 맞아 백운평·천수평·마록구 등지에서 3회의 격전을 전개 하였
김좌진장군묘 / 金佐鎭將軍墓 [역사/근대사]
충청남도 보령시 청소면 재정리에 있는 독립운동가 김좌진 장군의 묘. 충청남도 기념물 제73호. 1920년 청산리전투에서는 독립운동사에 길이 남는 대 전과를 올렸다. 1930년 1월 24일 중동선 산시역 앞 자택에서 200m 거리에 있는 정미소에서 공산주의자 박상실의 흉
김준용 / 金駿鏞 [종교·철학/유학]
1864(고종 갑자) ~ 1934. 아버지는 두규, 어머니는 김백선의 딸이다, 쌍벽당 언구의 후손이다. 일찍이 동호 서재정에게 거자업을 배워 입신양명을 꿈꾸었다. 신묘년 가을 백씨가 과거보러 갈 때 함께 가서 과거를 보았는데 합격하지 못하였다. 조용히 생을 마감했다.
김지섭 / 金祉燮 [종교·철학/유학]
항일기의 독립운동가(1885∼1928). 의열단에 입단하였다. 조선총독부·동양척식주식회사·매일신보사 등을 파괴하려다가, 경찰에 탐지되어 실패하였다. 일왕의 궁에 폭탄을 투척하다 붙잡혔다. 무기징역을 언도 받고 옥사하였다. 건국훈장 대통령장이 추서되었다.
김창언 / 金昌彦 [역사/근대사]
1899년(광무 3)∼1930년 7월 21일.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거주지는 함경남도 단천군(端川郡) 하다면(何多面)이다. 함경남도 단천군 하다면‧복귀면‧수하면‧이중면 지역 주민들은 평소 땔나무를 팔고 숯을 만들어 팔아 생계를 유지하고 있었다. 그런데 일본 치하의
김철희 / 金喆熙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45∼1922). 1874년(고종 11) 증광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수찬·집의·대사성·승지·이조참의·의주부윤을 거쳐 경모궁제조·궁내부특진관을 지냈으며, 서화에도 능하였다.
김총리유고 / 金總理遺稿 [역사/근대사]
대한제국기 관료·정치가 김홍집의 서(書)·차·제문·행장 등을 수록한 시문집. 8책. 필사본. 권두에 정인보(鄭寅普)의 서문이 있다. 1∼5책에 차(箚) 40편, 주(奏) 16편, 의(儀) 4편, 서(序) 11편, 서후(書後) 5편, 명 2편, 찬 1편, 설 2편, 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