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고려 총 1,310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고려
의제고 / 義濟庫 [사회/사회구조]
고려시대 빈민구호를 위하여 설치한 관서. 1361년(공민왕 10)에 설치되었는데, 이듬해 이와 유사한 기관으로 혜제고(惠濟庫)가 설치되어 서로 그 업무가 중복됨으로써 1391년(공양왕 3) 혜제고에 병합되었다. 관원으로는 영(종7품) 1인, 승(종8품) 1인, 녹사(
의조 / 儀曹 [종교·철학/유학]
고려 후기 예의·제향·조회·교빙·학교·과거에 관한 일을 관장하던 중앙관청. 1275년(충렬왕 1)에 원나라의 간섭으로 상서육부의 상서예부와 상서이부를 병합하여 전리사를 설치, 1298년에 이를 의조로 고치고 이부를 따로 분리하여 전조(銓曹)를 설치하였다. 의조의 관원
의주 / 義州 [지리/자연지리]
지명. 고려 예종(睿宗) 때에 내원성과 포주를 귀속시켜 포주를 의주(義州)로 개칭. 공민왕(恭愍王) 15년(1366)에 의주목(義州牧)으로 삼고, 공민왕(恭愍王) 18년에는 여기에 만호부를 두었던 것이 조선왕조에 이어졌다. 의주(義州)는 ‘일국의 서문’으로 명사(明使)
의창 / 義倉 [경제·산업/경제]
평시에 곡식을 저장해 두었다가 흉년이 들었을 때 기민을 구호하거나 궁민에게 대여해 생업에 종사하게 하던 구호 기관. 고려 태조가 흑창을 설치해 궁민에게 진대하는 법을 마련, 986년(성종 5)에 이름을 의창으로 바꾸고 지방에까지 확대하였다. 993년에는 양경 및 12
의천 / 義天 [종교·철학/불교]
1055-1101. 고려의 승려. 성은 왕씨, 이름은 후이다. 고려 문종의 아들이다. 11세 축가하여 영통사에 있었다. 15세에 우세라는 호를 얻고 승통이 되었다. 31세 송나라로 유학을 떠나 화엄사상과 천태사상을 공부하였다. 32세에 귀국하였다. 이때 3천여 권의
의항운하 / 蟻項運河 [지리/인문지리]
충청남도 태안군 남면 신온리와 안면읍 창기리에 있는 운하. 고려 인종 때에 태안반도에 굴포를 개착할 계획을 세우고 착공하였으나 총 17리 거리에 10리를 완성, 불과 7리를 남겨두고 중지하였다. 그 뒤 조선 세조 때에도 삼남지방의 세미(稅米) 수송을 위하여 운하를 건설
이곡 / 李穀 [종교·철학/유학]
1298(충렬왕 24)∼1351(충정왕 3). 고려 말엽의 학자. 윤경 6대손이다. 자성 아들, 색 아버지이다. 1317년(충숙왕 4) 거자과에 합격한 뒤 예문관검열이 되었다. 밀직부사, 정당문학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 ≪가정집≫ 4책 20권이 전한다.
이규보 / 李奎報 [종교·철학/유학]
1168(의종 22)∼1241(고종 28). 고려 후기의 문신·학자·문인. 아버지는 윤수이다. 9세 때부터 중국의 고전들을 두루 읽기 시작했고 문에 대한 재능이 뛰어났다. 저술로는『동명왕편』·『개원천보영사시』등 이었다. 그리고 문집으로『동국이상국집』이 있다.
이달충 / 李達衷 [문학/한문학]
고려후기 『제정집』을 저술한 유학자.문신. 증조는 문하평리(門下評理)이핵(李翮), 할아버지는 밀직부사 이세기(李世基), 아버지는 첨의참리(僉議參理) 이천(李蒨), 어머니는 연창군부인박씨(延昌郡夫人朴氏)이다. 1326년(충숙왕 13) 충숙왕 때 문과에 급제하여 성균관좨주
이담지 / 李湛之 [문학/한문학]
고려후기 죽림고회(竹林高會) 7인중 한 사람인 문인. 좌사(左思) 이중약(李仲若)의 내손(內孫)이다. 가계 및 생애에 대한 자세한 기록은 남아 있지 않으나, 무인란 이후 임춘(林椿)과 마찬가지로 개경을 벗어나 유락객(流落客)이 되었다는 것으로 보아 중앙에 기반을 둔 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