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불설사십이장경음독구결 / 佛說四十二章經音讀口訣 [언어/언어/문자]
『불설사십이장경』의 단어와 구절 뒤에 한자로 우리말 조사와 어미 등을 단 책. 불교의 방대한 내용을 42장의 요지로 요약한 것으로, 후한 영평 10년(서기 67년) 가섭마등(迦葉摩騰)과 법란(法蘭)이 공동으로 번역한 경이다. 표제가 『불설사십이장경』으로 되어 있지만,
불설아미타경 / 佛說阿彌陀經 [언론·출판/출판]
자부(子部) - 석가류(釋家類) 천태대사 지의(智顗), 세조(世祖) 역해, 목판본, 팔공산동화사, 1753년(영조 29), 불분권 1책(서 5장, 본문 29장, 부록 왕즉반혼전 10장, 임종정연결 5장, 부모효양문 2장, 합 51장). 정토에 관해 설한 경전인《佛說阿彌
불씨잡변 / 佛氏雜辯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의 유학자 정도전의 불교 비판에 관한 논문. <삼봉집> 권6에 수록되어 있다. 19편의 논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불교의 교리와 그 사회적 폐단을 비판하였다. 불씨윤회지변, 불씨인과지변 등 앞부분에서는 불교의윤회설, 인과설, 심성설, 심적설 등을 유교의 입장에서
불암산 / 佛巖山 [지리/자연지리]
서울특별시 노원구와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509.7m. 원래 ‘필암산(筆巖山)’이라 하여 먹골[墨洞]·벼루말[硯村]과 함께 필(筆)·묵(墨)·현(硯)으로 지기(地氣)를 꺾는다는 풍수지명(風水地名)이었다. 불암산이라는 명칭은 큰 바위로 된 봉우리
불영사계곡일원 / 佛影寺溪谷一圓 [지리/자연지리]
경상북도 울진군 근남면에 있는 불영사일대의 명승지. 면적은 3,518,561㎡이며, 1979년 12월 명승 제6호로 지정되었다. 불영사계곡은 신라 의상(義湘)이 처음 세웠다는 불영사에서 근남면 행곡리에 이르는 곳인데 태백산맥의 경승지로서 깎아 세운 듯한 기암절벽 사이로
불완전동사 / 不完全動詞 [언어/언어/문자]
활용상의 제약을 받아 몇 개의 국한된 활용형만을 가지고 있을 뿐, 대부분의 활용형이 나타나지 않는 비생산적인 동사. 불완전동사의 특징 및 이들 어간이 활용어미와 가지는 통합관계에서의 특징을 들면 다음과 같다. ① 형용사에는 없고 동사에만 한정되어 있다. ② 시제(時制)
불우헌가 / 不憂軒歌 [문학/고전시가]
1472년(성종 3)정극인(丁克仁)이 지은 단가. 내용은 관리의 세계에서 뜻대로 되는 일이 없었는데, 이러한 은혜와 광영을 입고 보니, 이 영광스러운 모습을 어서 속히 임금에게 보이고 싶다는 것이다. 형식은 재래의 송축가형식을 그대로 답습한 것이다. 그 연원은 고려시대
불우헌곡 / 不憂軒曲 [문학/고전시가]
1472년(성종 3)정극인(丁克仁)이 지은 경기체가. 정극인의 문집인 『불우헌집』 권2에 전한다. 전 6장으로 되어 있으며 제6장 마지막의 낙구(落句)를 독립된 장으로 본다면 모두 7장이 된다. 제1장에서는 벼슬을 그만두고 자연에 묻혀 거문고와 책과 바둑과 장기를 즐기
불우헌집 / 不憂軒集 [문학/고전시가]
조신 초기의 문신·시인 정극인의 시문집. 2권 1책. 석판인쇄본. 1786년(정조 10) 후손인 효목이 편집간행한 것을 1969년 정씨서륜당에서 중간하였다. 권두에 황경원·황윤석의 서문과 권말에 정내동·정팔성의 발문이 있다. 권1에 시 58수가 수록되어 있다. 권2에는
불일폭포 / 佛日瀑布 [지리/자연지리]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에 있는 폭포. 지리산국립공원에 있는 10경(景)의 하나이며, 쌍계사 북쪽 3㎞ 지점에 펼쳐진 불일평전(佛日平田)에서 약 4㎞ 들어가 있다. 높이 60m로 전국에서 몇 번째 안가는 폭포로서 백천단애의 비폭과 오색무지개, 한여름에도 냉기를 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