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불교 / 佛敎 [종교·철학/불교]

    BCE 5세기 경에 고타마 싯달타(Gotama Siddhartha)의 가르침을 근거로 하여 성립한 종교. 붓다(Buddha)란 '깨달은 자'의 의미로, 고타마에게 붙인 칭호이다. 석가모니라고도 한다. 고타마는 사키야 왕국의 왕자였으므로 석가모니란 사키야 족의 성자란 뜻

  • 불교가사 / 佛敎歌辭 [문학/고전시가]

    불교의 포교나 불신앙 고취, 또는 찬불(讚佛)을 위하여 지은 가사. 불교가사는 승려들이 염불포교(念佛布敎)를 하고자 향찰식(鄕札式) 또는 구비방언의 평이한 형식으로 노래를 지으면서 발생하였다. 불교가사의 효시는 고려 말 나옹(懶翁)의 「서왕가 西往歌」에서 비롯된다. 내

  • 불교설화 / 佛敎說話 [문학/구비문학]

    불교적인 교리를 주제로 담고 있는 설화. 세 가지 유형적으로 구분할 수 있는 특이점이 있다. 첫번째 유형은 불교의 특정 종교 경전에 근거를 두고 있는 설화를 협의의 개념으로 정의할 수 있다. 두번째 유형은 본래 경전과 무관한 것으로 토착적으로 전승되던 이야기 가운데 불

  • 불굴가 / 不屈歌 [문학/고전시가]

    고려 말기에 변안열(邊安烈)이 지었다고 전하는 단가. 원가(原歌)는 전하지 않고, 한역가(漢譯歌)와 창작경위가 『원주변씨세보(原州邊氏世譜)』 경신보(庚申譜) 권1 잡록부(雜錄附)에 수록되어 있다. 변안열은 1351년에 공민왕을 따라 고려에 와서 귀화한 장수로 무공을 많

  • 불규칙용언 / 不規則用言 [언어/언어/문자]

    활용할 때에 어간이나 어미가 모습을 달리하는 용언. 불규칙용언의 활용을 불규칙활용 또는 변칙활용이라 하고, 이러한 불규칙활용하는 동사·형용사를 각각 불규칙동사·불규칙형용사라 한다. 이와 같은 변화는 국어 음운변화의 일반적인 현상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러한 용언을 불규칙

  • 불꽃놀이 [생활/민속]

    화약이 터질 때 나는 큰 소리와 이에 뒤따라 꽃잎처럼 휘황하게 퍼지는 불꽃을 즐기는 민속놀이. 이 놀이에는 국가에서 대규모로 행한 화산대(火山臺)와 민간에서 흔히 하던 줄불 그리고 딱총놀이의 세 가지가 있다. 화약이 발명되기 전에는 폭죽(爆竹)이 사용되었다. 우리 나라

  • 불림소리 / 불림소리 [예술·체육/무용]

    현대무용가 최청자의 대표작으로 에로틱한 움직임을 통해 무당굿을 현대무용화한 작품. 1989년 초연된 「불림소리」는 한국 특유의 주술 의식, 즉 무당굿을 소재로 한 현대무용 작품이다. 여기서 ‘불림소리’란 인간 내면에 담긴 열정의 기를 생명 소리로 승화시키고자 하는 것을

  • 불모산영산재 / 佛母山靈山齋 [종교·철학/불교]

    경상남도 창원시 소재 불모산 일대의 사찰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불교의식. 영산재는 전통불교에서 사람이 죽은 지 49일 만에 지내는 불교의식으로, 불모산 영산재는 창원 불모산 일대의 사찰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범패와 작법으로 구성되어 있다. 2002년 2월 9일 경상남도

  • 불상출현담 / 佛像出現譚 [문학/구비문학]

    불상이 출현하여 신이한 권능을 구현하고 신성을 현시하는 것에 관한 설화. 불상의 출현담은 몇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먼저 존재가 실제로 출현하여 자신의 모습을 현시하고 세속의 사람들에게 추인하도록 하는 유형이다. 「낙산이대성 관음 정취 조신(洛山二大聖觀音正趣調信)」,

  • 불설대보부모은중경언해 / 佛說大報父母恩重經諺解 [언어/언어/문자]

    『불설대보부모은중경(佛說大報父母恩重經)』를 한글로 풀이한 책. 부모의 은혜가 한없이 크고 깊음을 말하고, 은혜 갚음과 죄를 없애는 방법을 가르치고 있는 불교 경전이다. 『불설대보부모은중경』은 조선시대에 널리 유통되었으며, 조선 중기 이후에는 언해본도 여러 차례 간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