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분산회복사은가 / 墳山恢復謝恩歌 [문학/고전시가]

    1638년경에 강복중(姜復中)이 지은 가문가사. 4음보 1행의 가사체를 기준으로 130여 행 내외이고, 서사(10행)·본사(100여행)·결사(20행) 3단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청계(淸溪) 강복중(1563∼1639)이 16세의 어린 시절부터 선산의 명당자리를 두고

  • 분석 / 分石 [경제·산업/경제]

    조선 후기 삼정문란의 한 사례인 환곡의 폐해. 임진왜란 후 삼정의 문란이 극심했을 때, 벼슬아치들이 국고미를 착복하던 방법으로 재고 양곡을 서리배가 착복하여 써버리고, 착복한 곡식의 부족분을 채우기 위하여 겨를 대량으로 섞어서 석수를 채웠다. 이 경우 1석을 2석으로

  • 분선공감 / 分繕工監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선공감의 일을 나누어 맡아보던 임시관서. 분선공감은 공조에서 관장하는 선공감과 달리 의정대신들에 의해 통섭되어 인신을 소유하고 전곡을 비축하고 군졸을 부렸기에 폐지가 논의되다가 1485년(성종 16)에 선결도감으로 개칭되었다.

  • 분수계 / 分水界 [지리/자연지리]

    인접하는 하천 유역을 나누는 경계. 분수계는 인접해 있는 하천 유역의 경계를 말하며 유역계(流域界)라고도 한다. 다른 하천 유역의 경계를 주분수계(主分水界), 하나의 본지류(本支流) 사이 또는 지류 사이의 경계를 부분수계(副分水界)라고 한다. 분수계는 서로 인접하는 하

  • 분순부위 / 奮順副尉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종7품 무신의 품계.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무산계가 제정될 때 종7품 무산계는 진용부위(進勇副尉)로 정하였다.그런데 진용부위는 1466년(세조 12)에 분순부위(奮順副尉)로 개칭되어 ≪경국대전≫에 수록되었다.

  • 분양악부 / 汾陽樂府 [문학/한문학]

    조선 말기에 한유(韓愉)가 지은 영사악부(詠史樂府). 1912년에 간행된 그의 문집인 『우산집 愚山集』에 실려 있다. 31제 41수가 수록되어 있다. 필사본에는 ‘분양고사(汾陽故事)’로 되어 있다. 모두 33제 44수를 수록하였다. 문집 수록의 작품은 필사본을 교열하

  • 분업 / 分業 [사회/사회구조]

    물질생산과 관련해 서로 다른 부분들이 상대적 자립성을 가지고 분화된 기능을 수행하는 노동형태. 나눠맡기. 분업은 기술적·지역적·사회적인 여러 수준에서 여러 가지 양태로 표현되며, 기본적으로는 자연적 분업과 사회적 분업으로 구분된다. 자연적 분업은 연령과 성(性) 등에

  • 분용도위 / 奮勇徒尉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서반 정8품 토관계의 위호. 토관직은 함경도·평안도에 거주하는 토착세력들을 회유하기 위해 특별히 마련한 관직으로서 타도의 향리들과 달리 품관체계로 편입한 것이었다. 이러한 종류의 서반토관직은 병마절도사의 추천으로 임명되나 대간의 서경을 거치도록 하였다. 이들은

  • 분원 / 分院 [예술·체육/공예]

    조선시대 경기도 광주군일대에 설치된 사옹원(司饔院)의 관영 사기제조장(官營沙器製造場). 국가에 필요한 관어용(官御用) 도자기의 조달은 15세기 전반경에는 전국의 자기소(磁器所, 139개소)·도기소(陶器所, 185개소)에서 토산공물로서 세공(歲貢)·별공(別貢)의 방법으로

  • 분원시 / 憤怨詩 [문학/한문학]

    신라 진성여왕 때의 은자(隱者) 왕거인(王巨仁)이 지은 것으로 전하는 한시. 칠언율시.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그 사연과 시가 전하고 있으며, 중국의 『전당시(全唐詩)』에도 이 작품을 왕거인의 것으로 기록하고 있다. 『삼국사기』의 것을 보면 다음과 같다. “우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