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분당신도시 / 盆唐新都市 [지리/인문지리]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있는 계획도시. 서울 도심에서 동남쪽 25km 지점에 위치하며, 수도권의 주거 문제를 해소하고, 기능의 분산을 위해 건설한 수도권 제1기 신도시(분당, 일산, 평촌, 산본, 중동) 가운데 한 곳이다. 분당 신도시는 주택 공급을 통한 부동산 가격의
분대 / 分臺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서경 및 양계 지방에 두어졌던 감찰 기구. 중앙의 어사대 소속으로 파견근무 형식을 띠는 종6품의 감찰어사 1명과 약간의 이속으로 구성되었다. 그래서 흔히 파견 관원인 감찰어사 자체를 분대라고도 하였다. 서경에 분대가 처음으로 설치된 것은 990년(성종 9)이
분대 / 粉黛 [생활/의생활]
백분과 눈썹먹[眉墨]. 옛날 우리 나라 사람들이 화장할 때, 백분과 눈썹먹을 반드시 사용하고 이 두 가지의 사용 빈도가 가장 많았으므로 화장품을 가리키는 의미로도 사용되었다. 또 백분과 눈썹먹의 사용은 화장을 의미하였기 때문에 화장을 지칭하기도 하였다. 화장한 여인은
분령 / 分嶺 [지리/인문지리]
전라남도 순천 지역의 옛 지명. 본래 백제의 파지성(波知城, 또는 分沙ㆍ夫沙)이었는데, 당나라가 점령한 뒤 이곳에 분차주(分嵯州)를 설치하였다. 신라가 차지한 뒤 757년(경덕왕 16) 분령군(分嶺郡)으로 고쳐 무주의 관할하에 두었다. 940년(태조 23) 낙안(樂安,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3 / 分類杜工部詩(諺解) 卷十三 [언어/언어/문자]
1481년(성종 12) 유윤겸 등이 당나라 두보의 시를 주제별로 분류하여 언해한 책. 홍문관 전적 유윤겸 등이 『찬주분류두시(纂註分類杜詩)』 등을 참고하여 25권으로 편찬하고, 1481년(성종 12)에 금속활자인 을해자(乙亥字)로 인출하였다. 당나라 두보의 시를 주제별
분류두공부시언해 / 分類杜工部詩諺解 [언론·출판/출판]
당나라 시인 두보(杜甫)의 시를 한글로 해석한 책. 25권 17책. 약칭 <두시언해>. 1481년(성종 12)에 유윤겸(柳允謙) 등이 왕명에 의하여 해석을 가하여 간행. 1632년(인조 10)에 오숙경이 중간. 기행·술회·질병·회고·시사·변새·군려·궁전·거실·황족·종
분류보주이태백시 / 分類補註李太白詩 [언론·출판/출판]
집부(集部) - 별집류(別集類) 이백(二伯, 唐) 저, 양제현(楊齊賢, 明) 집주, 소사빈(蕭士贇) 보주, 금속활자본(초주갑인자), 16세기 이전, 1책(전 25권 7책). 표제는 이태백시(李太白詩), 판심제는 이시주(李詩註)로 되어 있다. 당대 이백(李伯)의 시와 그
분류사 / 分類詞 [언어/언어/문자]
문장 안에서 결합되는 말의 의미상 또는 문법상의 특징에 관련된 분류를 나타내는 언어 형태. 국어에서 분류사는 명사(정확히는 명사 지시물)를 의미적으로 범주화하는 기능을 하며, 수량사와 함께 결합하여 명사의 수량 단위를 표시한다는 점에서 단위 명사라 불리기도 한다. 분류
분무공신 / 奮武功臣 [역사/조선시대사]
1728년 이인좌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운 사람에게 내린 훈호 또는 그 훈호를 받은사람. 1등은 병조판서 오명항으로, 수충갈성결기효력분무공신이라 하였다. 2등은 박찬신·박문수·이삼·조문명·박필건·김중만·이만빈 등 7인으로 수충갈성효력분무공신이라 하였다.3등은 토
분사태의감 / 分司太醫監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서경에 설치되었던 관서. 1116년(예종 11)에 의학원을 개편한 것이다. 관원으로는 겸직으로서 판감과 지감이 여러 사람이 있었고, 이 밖에 참외 2인, 8품 1인, 9품 1인이 있었다. 기능은 분명하지 않으나 명칭으로 보아 중앙관제의 태의감과 마찬가지로 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