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북포태산 / 北胞胎山 [지리/자연지리]
함경북도 무산군 삼장면과 함경남도 혜산군 대진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2,289m. 남쪽의 남포태산(南胞胎山, 2,435m)과 좋은 대조를 이루는 산지로 북서쪽에 소백산(小白山, 2,174m), 남동쪽에 아무산(阿武山, 1,803m) 등과 함께 마천령산맥의 주봉을 이
북포태산왕대황 / 北胞胎山王大黃 [과학/식물]
북한의 행정구역상 양강도 보천군 대평노동자구에 있는 장군풀. 북한 천연기념물 제355호. 북포태산은 보천군과 삼지연군 경계에 위치하며 해발 2,288m이다. 토양은 현무암지대이며 그 위에 부석층이 두껍게 깔려 있다. 연중 바람이 세고 온도가 낮다. 장군풀은 해발 2,0
북학 / 北學 [역사/조선시대사]
17,18세기에 청나라에서 발흥한 학문을 우리 나라에서 본받아 문물제도를 개혁하고자 한 학풍. 18세기의 북학파들도 청조 문명의 선진성을 직시하고 겸손한 태도로 그것을 배우자는 뜻으로 북학을 주장한 것이었다. 청조의 학술은 명말청초에 일어난 일련의 개혁적인 실학자들의
북학의 / 北學議 [역사/조선시대사]
1778년(정조 2) 실학자 박제가가 청나라의 풍속과 제도를 시찰하고 돌아와서 그 견문한 바를 쓴 책. 2권 1책. 사본. 내외편 각 1권으로 되어 있는 이 책의 내편은 거·선·성·벽·와·옹·단·궁실·창호·계체·도로·교량·축목·우·마·여·안·조·시정·상고·은·전·철·재
북한강 / 北漢江 [지리/자연지리]
한강의 대지류 중 하나인 강. 북한강은 북한 지역인 강원도 금강군의 옥발봉에서 발원해 유역면적 10,834.8㎢, 유로연장 317.5㎞이다. 한강의 대지류로, 금강산의 비로봉 부근에서 발원하는 금강천 등과 합류하여 남쪽으로 흐르며 소양강, 홍천강 등의 주요 지천이 있다
북한관성장 / 北漢管城將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후기 경리청의 곡물의 출납을 관리하기 위하여 설치된 무관직. 1711년(숙종 37) 북한산성을 쌓은 뒤에 경리청을 설치하고 곡물의 출납을 전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관성장 1인을 임명하였다. 처음에는 병사나 수사의 경력을 가진 사람으로 계청, 임명하여 행궁소위장이
북한산 / 北漢山 [지리/자연지리]
서울특별시 도봉구·강북구·종로구·은평구와 경기도 고양시·양주시·의정부시에 걸쳐 있는 산. 북한산의 높이 835.6m이고, 전체 면적 중 서울은 약 39㎢, 경기도는 약 41㎢를 점하고 있다. 북한산은 경위도상 위치는 동경 126°56′∼127°03′, 북위 37°35′
북한산국립공원 / 北漢山國立公園 [지리/자연지리]
서울특별시 도봉구, 강북구, 서대문구, 종로구, 은평구와 경기도 고양시, 양주시, 의정부시 지역에 걸쳐 있는 국립공원. 북한산국립공원의 면적은 76.922㎢이고 1983년 4월 2일에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북한산(836.5m)은 서울의 진산이며 누구나 이 산을 웅장
북한산성도총섭 / 北漢山城都摠攝 [종교·철학/불교]
조선시대 승군의 관직. 북한산성 안의 중흥사(重興寺)에는 치영(緇營)이라 하여 승병을 설치하였는데, 도총섭 1인을 두어 산성을 지키게 하였다. 도총섭은 본래 중흥사에 거주하던 승려로 임명하였는데, 1797년(정조 21) 수원유수 조심태의 계청에 의하여 용주사(龍珠寺)
북한지 / 北漢誌 [지리/인문지리]
조선후기 승려 성능이 북한산성에 관하여 1745년에 편찬한 지방지. 1책. 목활자본. 1711년(숙종 37) 북한산성 축조시에 팔도도총섭(八道都摠攝)이었던 승려 성능(性能)이 도총섭의 직책을 서윤(瑞胤)에게 인계할 때 산성에 관한 14조를 지지의 형태로 기록한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