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북청민란 / 北靑民亂 [역사/근대사]

    1888년 6월 함경도 북청에서 일어난 민란. 함경도 남병사 이용익의 불법 탐학에 견디다 못한 부민(府民)들이 민란을 일으켰으며, 남병사의 죄상 13개 조목을 들어 연명으로 장소(狀訴)하였다.조정에서는 이용익을 파직하고 의금부로 하여금 문초하게 하고, 전라도 지도(智島

  • 북청산수유나무 / 北靑山茱萸─ [과학/식물]

    북한의 행정구역상 함경남도 북청군 봉의리에 있는 산수유나무. 북한 천연기념물 제445호. 산수유나무는 봉의리 저수지 부락(용산골) 서쪽 산기슭 아래 양지쪽 밭 가운데서 자라고 있다. 산수유나무가 자라고 있는 토양은 화강편마암지대에 생긴 산림밤색 토양이고 모래메흙이며 습

  • 북청평야 / 北靑平野 [지리/자연지리]

    함경남도 북청군의 남부지역에 펼쳐진 평야. 남대천이 5대지류를 합하여 군의 중앙을 관류하면서 북청읍 일대와 속후면·후창면·가회면·신북청면 및 신창읍 일대에 광활하게 퇴적평야를 이루고 있으며, 농산물이 풍부하기로 함경도내에서 손꼽히는 대평야이다. 평야의 주변에서 급경사에

  • 북청하세동리토광묘 / 北靑下細洞里土壙墓 [역사/선사시대사]

    함경남도 북청군 거산면 하세동리에 있는 청동기시대 후기(초기철기시대)의 움무덤 유적. 세동리에서 북쪽으로 약 30km에 있는 구루마골 어구에 위치한다. 1958년 관개용 수로공사중 지하 1m 정도에서 유물이 노출되어 발견되었다. 지표상에 봉분은 없고, 또한 바닥시설도

  • 북청향교 / 北靑鄕校 [교육/교육]

    함경남도 북청군 북청읍 북리에 있는 향교. 태조 때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병자호란으로 소실된 것을 그 뒤 찰방 유경상(劉景祥)이 유림과 협력하여 중건하였다. 당시의 경내건물로는 대성전·동무(東廡)·서무(西廡)

  • 북촌리선사주거지유적 / 北村里先史住居址遺蹟 [역사/선사시대사]

    제주도 북제주군 조천읍 북촌리에 있는 신석기시대 이후의 바위그늘(rock―shelter)유적. 제1층위는 표토(表土) 하 15∼20㎝까지로 조개 및 동물뼈 파편이 비교적 많이 혼입된 흑갈색토층이며 일부 교란되었으나 삼국시대문화층이다. 제2층위는 표토 하 30∼45㎝로

  • 북춤 / 북춤 [예술·체육/무용]

    북을 치면서 추는 춤. 북은 수렵할 때나 전투·제의(祭儀)에서 신악기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북춤의 유래는 북을 연주하며 춤을 추는 데서 찾아야 한다. 요즘에는 모내기를 할 때 흥을 돋우기 위하여 농악의 편성에서 북놀이춤을 추는가 하면, 불교의식에서도 법고춤이라 하여 북

  • 북태평양고기압 / 北太平洋 高氣壓 [지리/자연지리]

    북태평양에서 발원하여 고온다습한 아열대성 고기압. 아열대기단. 북태평양에서 발원한 해양성 아열대기단으로 한반도에서 주로 여름철에 발달하며 고온다습한 특성을 가진다. 북태평양기단은 한반도의 한여름 기후에 영향을 미친다. 북태평양기단이 영향을 미치는 기간은 상대적으로 짧아

  • 북평 / 北坪 [지리/인문지리]

    강원도 동해시에 있었던 옛 지명. 북평의 지명유래는 1631년(인조 9) 이곳에 있는 전천(箭川)을 중심으로 북쪽을 북평, 남쪽을 박곡(璞谷)으로 나눈 데서 나왔다. 따라서 북평은 전천 북쪽의 넓은 들이라는 뜻을 가진다. 1738년(영조 14) 북평을 둘로 나누어 북상

  • 북평국가산업단지 / 北坪國家産業團地 [경제·산업/산업]

    강원도 동해시 북평동에 있는 공업단지. 975년 12월 12일에 북평 산업기지 개발구역으로 지정된 이후, 1995년 9월 27일에 국가공단 조성사업이 준공되었다. 이 공단의 설립목적은 영동지방과 태백권의 경제활성화를 도모하고 국토의 균형적인 발전을 도모하며, 대 북방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