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북제주화력발전소 / 北濟州火力發電所 [경제·산업/산업]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삼양동에 있는 화력발전소. 단위기 용량 1만㎾급 기력발전설비 1기 및 5,000㎾급 내연발전설비 8기를 보유한 총시설용량 5만㎾의 발전소로서 부지면적은 25만 5740㎡이다. 이 발전소는 정부의 제주항 확장 개발계획에 따라 노후된 제주화력발전소의
북조선노동당 / 北朝鮮勞動黨 [정치·법제/정치]
1946년 8월 28일 북한에서 결성된 정당. 북조선공산당과 조선신민당이 합당, 합당 선언에서 <북조선 노동대중의 이익을 옹호하는 대중적 정당>을 세울 필요에 의해서 결성되었다고 밝혔다. 강령으로 민주주의적 조선자주독립국가 건설, 8시간 노동제 실시, 여자들에게 남자와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 / 北朝鮮臨時人民委員會 [정치·법제/정치]
1946년 2월 발족된 북한 최초의 중앙권력기구. 당면 개혁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중앙권력기관 수립의 필요성을 느끼고 1946년 2월 8일 <북조선 각 정당, 사회단체, 각행정국 및 각도, 시, 군 인민위원회 대표 확대협의회>를 개최, <조선통일정부가 수립될 때까지>라는
북진정책 / 北進政策 [정치·법제/외교]
고려·조선시대에 추진되었던 대외정책. 고려라는 국호가 고구려의 옛 땅을 회복한다는 의지의 표시로 나타난 것을 보듯이, 국초부터 꾸준히 북방의 영토에 대해 관심을 보여왔다. 이러한 사실은 고려의 국왕들이 스스로를 고구려의 계승자라고 자부한 역사적 의식에서 유래한 것이라고
북찬가 / 北竄歌 [문학/고전시가]
1755년(영조 31)이광명(李匡明)이 지은 유배가사. 형식은 비교적 잘 다듬어져 있는데, 3·4조와 4·4조가 주조를 이루며 전체 분량은 2율각 1구로 세어 282구이다. 『증참의공적소시가(贈參議公謫所詩歌)』에 실려 있다. 저자는 벼슬살이에 뜻이 없어 시골에 숨어 살
북창느삼나무군락 / 北倉─群落 [과학/식물]
북한의 행정구역상 평안남도 북창군 남양리에 있는 개느삼군락. 북한 천연기념물 제52호. 북창역에서 동쪽으로 약 6㎞ 떨어진 남양리 소재지 서쪽 낮은 산에 보호구역이 설정되어 있다. 주변에는 수수꽃다리(넓은잎정향나무), 어린 참나무류·갈매나무·조팝나무·싸리나무 등을 비롯
북창비결 / 北窓秘訣 [종교·철학/도교]
도교에서 말하는 내단 입문서. 조선 중기에 정렴이 저술하였다. 내단수련법의 요점을 알기 쉽게 서술하여 초학자라도 실천에 옮길 수 있게 하였다. <해동전도록> 부록이 있다. 대체로 내단수련법을 세 단계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세 단계를 모두 거치고 나면 불로장생하는 경
북청광산 / 北靑鑛山 [경제·산업/산업]
함경남도 북청군 이곡면 상리에 있는 철광산. 상리는 북청 북쪽 40㎞ 가량 거슬러 올라간 남대천(南大川) 상류에 있는 마을로 북쪽으로 용수동령(龍水洞嶺, 1,591m)을 넘으면 황수원호(黃水院湖)에 이르는 고개취락이다. 규석층에서 광층상(鑛層狀)을 이루며 산출되는 치밀
북청군 / 北靑郡 [지리/인문지리]
함경남도의 동남부에 위치한 군. 동쪽은 이원군·단천군, 서쪽은 신흥군·홍원군, 남쪽은 동해, 북쪽은 풍산군과 접하고 있다. 동경 127°52′∼128°35′, 북위 40°0′∼40°37′에 위치하며, 면적 2,375.5㎢, 인구 20만 9530명(1944년 현재)이다.
북청군읍지 / 北靑郡邑誌 [지리/인문지리]
함경남도 북청군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1899년에 편찬한 지방지. 1책. 채색지도가 첨부된 사본. 규장각 도서에 있다. 이밖에도 『관북읍지(關北邑誌)』에 수록된 것과 『북청읍지』 1책이 규장각 도서에 있다. 내용 구성은 건치연혁(建置沿革)·읍명(邑名